2021년 12월부터 美 제재
세계 드론시장 점유율 70% 넘어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전세계 무인기(드론)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DJI(다장이노베이션)가 미국의 제재에도 시장확대를 이어가면서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러시아군으로의 드론 공급 의혹 등 여러 의혹들이 제기되는 가운데 DJI는 의혹들을 모두 부정하며 미 정계에 대한 로비도 지속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세계 최대 드론제조업체인 DJI의 드론 시장 내 점유율은 70%를 넘어섰다. 드론 시장 분석업체인 드론인더스트리인사이츠에 따르면 향후 드론 시장 규모는 2022년의 306억달러(약 38조원)에서 2030년의 558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DJI의 매출규모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두고 있는 DJI는 창업자 프랭크 왕이 2006년에 설립한 업체다. 2013년에 첫 양산형 드론인 '팬톰1(Phantom 1)'을 출시한 이래 빠른 성장세를 보여왔다. 현재 DJI는 직원이 1만4000명으로 이중 연구개발자만 전체 25%에 달할 정도로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DJI의 거침없는 성장세의 유일한 장애물은 미국의 제재로 알려져있다. 지난 2021년 12월 미국 당국은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 내 주민 감시와 인권침해에 드론이 사용됐다는 혐의로 DJI를 블랙리스트에 올렸으며, 현재까지도 미국 투자자들이 DJI에 대한 투자가 금지되고 있다. DJI측은 자사와 신장위구르자치구 주민 감시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밝혔지만, 미국에서 제재를 풀지 않고 있다.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에는 러시아군에 드론 납품 의혹까지 함께 휩싸였다. 개전 후 우크라이나 정부측에서 러시아군이 전쟁터에서 사용하는 드론이 DJI에서 개발한 드론이라며 강하게 비판하면서 의혹이 강하게 제기됐다. 하지만 DJI측은 자사 드론인 민수용으로 군용 사양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반박해왔다.
DJI측은 미 당국에 대한 로비강도를 높이며 자사 드론이 미국의 안보에 위협을 가할 수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DJI의 드론에 탑재된 소프트웨이어인 펌웨어가 암시장에 거래되며 타국 정보를 무단 유출하고 있다는 의혹이 지속되면서 미국에서 좀처럼 제재를 풀지 않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파올로 스태그노 사이버 안보 전문가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DJI의 드론 펌웨어 수정판은 암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드론 비행 높이와 거리 제한을 해제하고 싶은 조종자들 대부분은 이런 펌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