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리 내렸다고?"…영끌족, 반년 기다려야 체감

시계아이콘02분 1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최근 1~2주 사이 금리 하락, 신규 대출자에만 해당

주담대 변동금리, 코픽스 반영하고 6개월만에 변경

"금리 내렸다고?"…영끌족, 반년 기다려야 체감
AD




"요즘 대출금리가 내렸다는 기사를 많이 봤는데…. 세상에, 제 금리는 왜 더 높아졌죠?"


2년 전 서울 성동구에 있는 아파트를 사면서 4억8000만원을 빌린 김주원씨(42). 그는 며칠 전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안내 문자를 받고 가슴이 철렁했다. 작년 7월 적용받았던 4.23% 주담대 금리가 반년 만에 6.14%까지 올랐기 때문이다. 금리가 오르면서 한 달에 내야 할 이자만 50만원 넘게 늘어났다. 김씨는 "도대체 누구 대출금리가 내렸다는 말이냐"며 "오른 이자 감당하려면 이 한파에 보일러도 못 틀고 가스비를 아끼게 생겼다"고 한숨을 쉬었다.


기존 영끌족에겐 '먼 나라 이야기'

이달부터 시중은행들이 대출금리 인하 조치에 나섰지만 김씨 같은 기존 영끌족에겐 먼 나라 이야기다. 지난 1~2주 사이 내린 금리는 신규 대출자에게만 해당된다. 작년 12월만 해도 주담대 금리가 7%였는데, 올해 1월엔 6%까지 내려 한 달 늦게 대출을 받은 사람은 이자 비용을 줄일 수 있단 의미다. 은행권은 "지금 같은 추세로 금리가 꾸준히 내려가는 걸 가정했을 때, 올해 하반기는 돼야 기존 대출자들도 금리 인하가 피부에 와닿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는 주담대 변동금리 구조에 있다. 주담대 변동금리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반영해 6개월마다 한 번씩 바뀐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은행의 자금조달 수단인 예·적금과 은행채 금리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작년 11월 중순까지 예금금리가 폭등하면서 12월 발표된 코픽스(4.34%)도 덩달아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해 6월(1.98%)과 비교하면 반년 만에 2.36%포인트 올랐다. 이 상승폭이 그대로 금융소비자의 금리에 적용된다. 앞서 김씨의 대출금리가 약 2%포인트 뛴 것도 코픽스 인상분이 반영돼서다.


A은행 관계자는 "코픽스가 계속 하락한다는 조건 하에 작년 12월에 새 변동금리를 책정받은 사람은 올해 6월이 돼야 본인의 금리가 내려가는 걸 볼 수 있다"며 "작년 9월 이후 코픽스가 본격적으로 올랐기 때문에 올해 1분기 내 변동금리 주기를 맞는 기존 대출자들은 오히려 금리가 이전보다 올랐다는 느낌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 얼마나 내렸나
"금리 내렸다고?"…영끌족, 반년 기다려야 체감

은행 대출금리는 1년 5개월 만에 정점을 찍고 내리막 길목에 섰다. 얼마나 더 내릴지, 금리하락 속도가 어느 정도일지는 미지수지만 은행들의 금리 방향이 아래쪽을 향한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26일 KB국민은행은 전날보다 KB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0.75%포인트 인하해 4.87~6.27%로 정했다. 전세금안심대출 금리도 똑같이 인하 폭을 적용해 상단 금리가 5%대로 떨어졌다.


인하 움직임은 이달 초부터 시작됐다. 우리은행은 이달 들어 두차례 주담대 변동금리를 내렸다. 새해 벽두 상단 8%가 넘었던 금리는 3주만에 6%대로 낮아졌다. NH농협은행과 하나은행도 설 연휴 전후로 이 대열에 동참했다. 미국 기준금리가 종착지에 거의 도달했다는 전망까지 겹치며 금융권에선 "대출금리가 정점을 찍었다"는 견해가 우세해졌다.


다음달 23일 열리는 올해 두번째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가 또 한 차례 올라도 은행 금리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지난 13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직후에도 당국의 인하 압박과 채권시장 안정화로 은행 금리는 되레 떨어졌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올해 내내 대출금리는 약보합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레고랜드 사태 이후 오버슈팅(overshooting)됐던 금리가 원래 자리를 찾아가고 있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10~11월 사이 자금시장 경색 상황에서 한전 등 기업들과 금융회사들이 서로 자금조달에 나서면서 은행채 등 채권 금리와 은행 예금금리가 급등했고 이를 지표로 삼는 대출금리까지 지나치게 많이 올랐는데, 이 때 낀 금리 거품이 꺼지고 있단 의미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신규대출 기준, 가중평균 금리)는 2021년 8월부터 가파르게 상승했다. 2년 가까이 2%대를 유지했던 가계대출 금리는 순식간에 3%를 넘어섰다. 당시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즉각 영향을 받은 것이다. 올해 1월까지 10번의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되는 동안 가계대출 금리는 5.57%(작년 11월 기준)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내림세가 뚜렷해진 1월 통계가 반영되면 17개월 동안 가파르게 우상향했던 그래프도 조금씩 꺾이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 내렸다고?"…영끌족, 반년 기다려야 체감

신규대출자, 고정 or 변동 무엇이 유리할까

신규 대출을 받으려는 차주의 경우 고정금리, 변동금리 중 어떤 방식이 유리할까. 지난해 11월 말부터 은행채 금리 하락세가 뚜렷해지며 주담대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1%포인트 이상 저렴해져 주목받았다. "열이면 열 전부 고정금리"라는 게 연말 은행 지점 창구 분위기였다. 그러나 최근 금리 하락세가 뚜렷해지면서 변동금리에 다시 눈길이 쏠리고 있다.



B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당분간 대출금리도 하향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젠 변동금리가 유리한 국면이 됐다"면서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의 대환할 때 중도 상환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돼서 다시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면 재빨리 고정금리로 대환하는 방법도 고려할 만하다"고 설명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