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계묘년 새해가 밝았다. 올해도 건강한 한 해를 보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점에 신경써야 할까? 손기영 선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꾸준한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으로 건강 관리를 해야 한다"며 "월별 주의사항을 익혀 질환 및 사고 발생을 예방해보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1월에는 생활습관 점검을 통한 새해 목표 설정을 권한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체중이 늘어난 경우가 많아 체중 감량이 주 목표가 되곤한다. 살 빼기의 기본은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는 것이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1일 섭취 열량을 기존 대비 500~800kcal 줄이되 금식은 피하고 규칙적으로 식사를 해야 한다. 운동은 걷기, 자전거, 수영 유산소 운동을 약간 숨이 찰 정도 이상 강도로 하루에 30~60분, 주 3회 이상 실시한다. 금연도 새해 단골 목표다. 금연은 자신의 의지를 주위 사람들에게 표현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성공 시의 성취감을 상상하며 과감히 시도하는 게 좋다. 금연 치료제 사용도 고려해볼만 한다.
2월은 일조량 감소와 추운 날씨가 지속되면서 우울감이 들고 몸도 위축되기 쉽다. 밖으로 나가 조깅, 달리기, 겨울 레포츠 등 다양한 운동으로 스트레스 완화를 하며 체력도 단련하는 게 좋다. 이때 복장은 활동이 어려운 두꺼운 잠바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벌 입는 게 좋다.
3월은 꽃샘추위가 자고 일교차가 심해 감염 위험이 높아지기 쉽다. 보온에 신경 쓰고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미세먼지도 주의해야 한다. 호흡기·심장 기저질환이 있다면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게 좋다. 외출 후에는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고 물을 많이 마시는 게 좋다.
4월은 꽃가루가 날리고 대기 중 이물질이 많아 알레르기성 질환 발병 가능성이 높다. 눈물, 콧물, 재채기, 잦은 기침 등 호흡기계에 증상이 나타나고 가려움증이나 눈 주위 부종등이 생길 수 있다. 황사가 심할 때는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한다. 외출 후에는 반드시 몸을 씻도록 한다.
5월은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로 봄볕의 자외선이 강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게 좋다. 또 가벼운 옷차림으로 외출했다가 환절기 감기에 걸릴 수 있어 얇은 옷을 여벌로 걸치는 게 좋다. 나들이 때는 벌을 비롯한 각종 곤충, 벌레, 뱀에 물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6월에는 초여름에 기승을 부리는 눈병과 수족구병을 조심해야 한다. 눈병의 대부분은 결막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생긴다. 대부분 1~2주가 지나면 증상이 호전되고 후유증 없이 치유되지만 그 사이 증상이 매우 괴롭다. 눈병은 환자의 눈물이나 눈을 비빈 손을 통해 전파된다. 손을 열심히 씻는다면 후속 환자 발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 기온이 상승하는 초여름부터 영유아에게 많이 발생하는 수족구병은 전염성이 높아 주의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예방 백신이 없어 어린이집 등에서는 손 씻기로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 진료를 받도록 한다.
7월부터 본격적 여름이 찾아오면 식중독과 냉방병을 조심해야 한다. 식중독에 의한 설사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오염된 음식을 먹었을 때 발생한다. 물은 끓인 후 식혀서 마시고, 조리 시에는 위생에 주의하며 재료의 유효기간을 준수한다. 설사가 3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에어컨 가동률이 급속히 올라가면서 냉방병 증세를 호소하는 사람들도 늘어난다. 강한 냉방을 피하며 실내외 온도 차이를 5∼8도 정도로 유지한다. 실내 습도를 높이고 자주 환기를 하는 것이 좋다.
8월에는 폭염을 주의해야 한다. 강한 햇빛에 노출되면 일광화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피부가 빨개지고 통증이 발생하며 심하면 물집이 생기기도 한다. 얼굴과 팔다리가 붓고 열이 오르는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예방이 중요한 만큼 지나친 일광노출을 피하는 게 상책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필수다. 또 더위에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에는 열경련, 열피로, 열사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신 등의 증상을 보이면 빨리 그늘로 옮겨 머리 쪽을 낮추고 찬 물수건으로 마사지하면서 수분을 보충해준다.
9월은 가을철에 유행하는 열성 질환인 유행성출혈열, 쯔쯔가무시병을 유의해야 한다. 유행성출혈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과 들에 나갈 때 반드시 긴 소매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줄이고, 잔디밭에 앉거나 눕지 않으며 옷을 풀밭에 벗어두지 않는다. 외출 후에는 옷을 깨끗히 세탁한다. 만약 고열을 동반한 몸살, 감기 기운이 2~3일 지속되면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쯔쯔가무시병도 고열과 심한 전신근육통을 보인다.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 피부 연한 곳에 빈대한테 물린 특징적인 상처(가피)가 있는데 항생제로 치료하면 좋아질 수 있다.
10월은 일교차가 심해지는 환절기로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자. 특히 늦지 않게 독감 예방접종을 맞는 게 좋다. 건강한 사람들은 정말 '독한 감기'처럼 앓고 지나갈 수 있다. 하지만 노년층과 당뇨병, 신부전, 만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는 보통 감기와는 다르게 독감이 치명적일 수 있다.
11월은 실내 난방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습도가 낮아지므로 피부 및 안구 건조증을 조심해야 한다. 실내습도를 유지하고 수분섭취를 충분히 한다. 피부 건조증이 심하면 비누 사용을 줄이고 샤워 후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주면 도움이 된다.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환자를 접촉하는 경우 전염된다.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고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한다. 증상이 2~3일 안에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구토와 설사가 지속되므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탈수를 방지한다.
12월에는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서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올라가거나 심근경색증, 뇌졸중의 위험이 증가한다. 특히 만성질환자는 갑자기 추위에 노출되지 않게 주의한다. 또 빙판길 보행 시 미끄러지고 넘어지면서 다치는 낙상도 많이 발생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연말연시에는 술자리가 많아져서 건강을 해치거나 갑작스런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