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미국 워싱턴DC 비행통제구역에 최근 몇 달간 중국산 드론 수백 대가 출몰하면서 중국 스파이 활동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고 폴리티코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상원 국토안보위원회, 상무위원회, 정보위원회에 무인항공기시스템(UAS·드론) 관련 이 같은 보고가 올라왔다고 상원의원 3명은 폴리티코에 전했다.
이 드론은 중국 DJI가 만든 상업용 드론으로 공항 등 민감한 지역이나 통제구역에서 비행하지 못하도록 설정(지오펜싱)됐지만 사용자가 이 기술을 우회한 것으로 파악됐다.
DJI는 미국 내 상업용 드론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세계 최대 드론 제작업체다. 미 정부는 DJI가 중국 당국의 투자를 받은 것으로 파악하고 중국 정부와의 연관성을 경계하고 있다.
당국자들은 중국 정부가 이들 드론 조종을 지휘하고 있다고 보지는 않지만, 첩보 정보 수집 목적으로 드론의 카메라나 센서를 해킹할 위험이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상원 정보위원회의 마르코 루비오 의원은 지난 2월 미 연방통신위원회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기업 목록에 DJI를 추가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그는 "중국이나 중국 기업에서 온 모든 기술 제품에는 실질적이며 잠재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있고 이런 취약함을 분쟁 시를 포함해 언제든 악용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드론 관련 정부 부처의 권한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맨사 비노그라드 국토안보국 차관보대행도 지난 7월 상원 국토안보위에 출석해 정보 당국이나 범죄자가 상업용 드론을 활용해 스파이 활동을 하거나 민감한 기술을 훔치고 무선통신장치나 네트워크를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국방부는 지난 2017년 중국산 드론 구매를 금지했으며, 연방 정부 기관 중 드론을 가장 많이 운영하는 내무부는 비상시에만 중국산 드론을 사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아직 수천 곳의 연방·주·지역 사법 당국 등이 DJI 드론에 의존하고 있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연방항공국(FAA)에 따르면 미국에 등록된 드론은 약 170만대로, 오는 2024년 230만대로 증가할 전망이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