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비용으로 4억달러 청구"
머스크 친러 논란 더욱 심화될 듯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우크라이나에 지원했던 위성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의 서비스 요금을 미 국방부에 청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머스크가 트위터를 통해 친러 발언을 게재해 논란이 된 상황에서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무상지원도 중단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CNN은 단독입수한 문서를 통해 "스페이스X가 미 국방부에 더이상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스타링크 서비스의 자금부담을 떠안을 수 없다며 서비스 요금을 납부할 것을 요구했다"며 "1년간 서비스 비용으로 4억달러(약 5700억원)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CNN은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측 점령지의 탈환을 시도하는 상황에서 최근 최전방 지역 스타링크 서비스의 가동이 중단됐다는 얘기가 나오는 가운데 해당 문건이 확인됐다"며 "스페이스X가 미 국방부에 요구한 단말기 및 서비스 비용은 홈페이지에 게재한 가격보다 훨씬 높다"고 지적했다.
스타링크 서비스는 스페이스X의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로 가동되는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로, 단순 통신망 기능에 그치지 않고 정찰 드론과도 연결돼 러시아군의 움직임을 감시하는 등 군사 작전상 기여도가 크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스타링크 단말기는 그동안 우크라이나측에 약 2만여대가 제공된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머스크가 스타링크 서비스 제공으로 많은 찬사를 들었지만, 실제 우크라이나에 제공된 2만여대의 단말기 대부분은 미국이나 영국, 폴란드 정부 등이 지원한 사실도 입수 서류를 통해 확인했다"고 전했다.
지금 뜨는 뉴스
머스크의 친러발언에 이어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무상서비스 중단이 연이어 나오면서 머스크에 대한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앞서 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우크라이나 평화 중재안을 제시한다며 우크라이나가 크림반도 등 영토 일부를 포기하고 평화협상에 나서야한다는 내용을 게재해 친러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