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방치된 취약 계층…'복지 공백' 민낯 드러낸 '수원 세 모녀' 사건

시계아이콘01분 5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전문가 "취약 계층, 제도적 도움 받기까지 진입 어려워"
"복지 인력 보충·사회적 관심 동반돼야"

방치된 취약 계층…'복지 공백' 민낯 드러낸 '수원 세 모녀' 사건 생활고와 질병으로 어려움을 겪다 사망한 수원 세 모녀가 살던 경기 수원시 권선구의 다세대 주택./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강주희 기자]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다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사망한 '수원 세 모녀' 사건은 우리 사회의 안전망 공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정부는 뒤늦게 취약 계층을 집중 발굴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착수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소외 계층에 대한 관심과 공동체 의식이 동반돼야만 비슷한 사건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 21일 경기도 수원시 다세대 주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세 모녀는 생전에 극심한 생활고를 겪으면서 투병 생활을 했다. 어머니인 60대 여성 A씨와 40대인 두 딸은 각각 암과 희귀 난치병을 앓고 있었다. 이들 주변에는 도움을 요청할 만한 친척이나 이웃이 없었다. 생계를 유지하던 A씨의 남편과 아들이 2년 전 지병 등으로 먼저 세상을 떠나면서 형편이 크게 어려워진 것으로 전해졌다. 세 모녀는 사망 전 40 여 만원의 월세도 제때 내지 못했다. 지난해 2월부터는 건강보험료도 체납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기 징후가 있었지만 세 모녀에게 국가의 복지 손길은 닿지 않았다. 세 모녀의 실제 거주지는 수원시였으나 주민등록상 주소지는 화성시로 돼 있어 지자체가 소재를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세 모녀는 빚 독촉을 피하기 위해 그동안 전입신고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기초생활수급 등 기본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복지 서비스조차 신청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앙 정부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도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다. 보건복지부(복지부)는 단전, 단수, 단가스, 건보료 체납 등 34개 위기 정보를 토대로 복지 사각지대 가구를 발굴하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하지만 세 모녀는 건보료 체납만 위기 정보로 포착돼 위기 가구 발굴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았다. 채무나 세대주 사망 등의 다른 정보들은 파악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위험 징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분류됐다.


화성시는 세 모녀의 건보료가 16개월째 체납되자 지난 7월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찾아가는 등 현장 조사에 나섰다. 그러나 세 모녀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자 복지 서비스 '비대상자'로 분류하고 더 이상 추적하지 않았다. 사실상 세 모녀처럼 빚 독촉을 피해 숨어 지낼 수밖에 없는 이들에겐 복지 제도가 있어도 무용지물인 것이다.


'신청 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복지 시스템도 한계로 지적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복지 제도는 대부분 당사자가 직접 신청해야만 지원 받을 수 있는 구조다. 그러나 서류 준비 등 절차가 복잡하다. 그래서 진입 단계부터 가로막히거나 세 모녀처럼 상황과 여건이 안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복지부가 지난 5∼7월 복지 사각지대 발굴 조사를 통해 찾은 고위험군 20만5748명 가운데, 1117명은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살지 않아 연락이 두절된 상태였다. 세 모녀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이들이 또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정부는 뒤늦게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할 대책 마련에 나섰다. 복지부는 지난 24일 '복지 사각지대 발굴 관련한 전문가 간담회'를 열었다. 위기 가구의 소재·위치 파악이 안 될 경우 실종·가출자에 준해 경찰의 도움을 받아 소재를 파악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또 오는 9월6일 차세대 사회보장시스템을 적용하면서 현재 34종인 위기 정보를 39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문가는 세 모녀 사건과 같은 비극을 막기 위해선 복지 사각지대를 발견할 인력을 보충하고 공동체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동명 동덕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복지 제도는 필수적인 부분은 대부분 갖춰져 있다. 경제적인 부분을 지원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제도가 있지만, 문제는 취약 계층이 제도에 접근하기까지의 과정"이라며 "결국 인력의 문제다. 정부와 지자체는 인력을 보충하고 이에 소요되는 행정 비용을 과감하게 늘려야 한다. 또 이웃 등 가까이 있는 이들이 주변의 위기를 알리고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것은 취약 계층의 방치를 막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강주희 기자 kjh81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