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편의점 제국]전국 5만개 퀵커머스 전진기지…'제2의 전성기'

시계아이콘01분 3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②거미줄 점포망 배송 거점으로 진화

1인 가구 증가·상품 경쟁력 강화 등으로 지속 성장
편의점 3社, 점포수 4만4180개…5년 새 9107개 증가
배달서비스 매출 '껑충'…CU 43.8%, GS25 243.8%↑
"최첨단 기술 리테일에 접목…라스트마일 단축할 것"

[편의점 제국]전국 5만개 퀵커머스 전진기지…'제2의 전성기'
AD

<<24시간 도시를 밝히는 불빛, 편의점이다. 전국 편의점은 5만여 개로 인구 1000명당 1개 꼴이다. 도시뿐 아니라 전국 시군구 단위에 촘촘히 자리했다. 국토 최남단 섬인 마라도와 동해 바다 위 상징성을 띤 독도 옆 울릉도에도 편의점은 불을 밝히고 있다. 편의점을 밝히는 불빛을 연결하면 우리나라가 하나의 거대한 거미줄처럼 빈틈없이 연결된다. 촘촘한 편의점 네트워크는 생활 필수품을 파는 집 앞 가게에 그치지 않고 영역을 확대하면서 진화 중이다. 취급 품목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명품을 비롯해 이동형 주택, 전기차까지 편의점 판매 리스트에 올라왔다. 식당, 카페, 백화점, 은행, 우체국, 주민센터, 파출소의 역할마저 흡수했다.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한정판 상품을 사들이기 위해선 편의점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는 필수다. 온라인과 모바일 문화에 익숙한 2030세대는 이를 알뜰히 활용해 제 몫을 챙긴다. 10대에겐 편의점이 과거 문방구를 대체하는 ‘소비 놀이터’다. 신상품을 가장 먼저 맛보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하는 문화는 10대들 사이에서 익숙하다. 하루라도 이용하지 않으면 생활에 불편을 느낄 정도로 편의점은 다방면에서 우리 생활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있다. 이같은 변화는 유통 산업 지형도마저 바꾸고 있다. 지난해 편의점 매출은 대형마트 매출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전통 유통 채널부터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유통업계 핵심 경쟁력으로 꼽고 있는 물류 및 배송 인프라 면에서도 편의점은 강점을 갖췄다. 목 좋은 곳에 자리한 점포망을 물류의 중간 기지로 활용할 수 있어서다. 최근 편의점은 자율주행 로봇과 드론을 활용, 지역과 거리의 한계를 극복한 최첨단 배송을 시도 중이다. '편의점이 도시를 지배하는 세상, 편의점 제국'은 더이상 공상과학 같은 이야기가 아니다. 이미 우리 삶에 깊숙하게 침투한 편의점은 어디로 진화하고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지금 그들은 어떤 큰 그림을 그리면서 무엇을 준비하고 있을까.>>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코로나19 사태 이후 편의점들이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국내 편의점 시장은 1인 가구 증가와 상품 경쟁력 강화 등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전국 5만여 개 점포는 퀵커머스 전진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신규 점포 증가, 무인점포 ‘쑥쑥’

1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CU·GS25·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3사 점포 수는 4만4180개로 집계됐다. 이는 5년 전(3만5073개)보다 9107개 늘어난 수치다. 업계 4위인 이마트24의 점포 수는 지난해 말 기준 5857개다. 국내 편의점 시장이 포화상태라고 하지만 구도심 상권 등이 재개발되고, 새로운 아파트가 들어선 곳을 중심으로 신규 점포가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 등 영향으로 인건비 부담이 상승하면서 무인 편의점이 대세가 되고 있다. CU에 따르면 지난해 300개였던 하이브리드 매장은 올해 7월 기준 400개까지 늘어났다. 현재 GS25에서는 하이브리드 매장을 661개, 세븐일레븐에선 390개, 이마트24에선 1330개를 운영 중이다. 해당 매장들은 낮엔 근무하는 점원이 존재하며 심야시간엔 무인매장 형태로 운영된다.


완전무인매장은 생체 인식, QR코드, 라이다 카메라, 무게 감지 센서 등 기술들이 적용돼 상품을 골라 나오면 자동으로 결제가 된다. CU의 ‘테크 프렌들리’, 세븐일레븐은 ‘DT 랩 스토어’ 등이 대표적이다. 아직까지 대부분은 회사 사옥 등을 중심으로 폐쇄적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GS25는 완전무인매장을 76개, CU는 2개, 세븐일레븐은 40개, 이마트24는 1개를 운영 중이다.


[편의점 제국]전국 5만개 퀵커머스 전진기지…'제2의 전성기'
◆근거리 배송 확대, 로봇부터 드론까지

편의점들은 퀵커머스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내세우고 있다. 실제 전국 곳곳에 거미줄처럼 퍼져있는 점포망은 근거리 배달 거점으로 최적의 조건이다. CU는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 8일까지 배달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3.8% 증가했다. 같은 기간 GS25는 243.8%, 세븐일레븐은 50% 증가했다. 이마트24는 올해 1월부터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배달서비스를 시작했고, 이용건수가 매월 평균 2배씩 성장 중이다.


서울 도심에선 실외 자율주행 로봇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뉴빌리티와 지난해 8월부터 자율주행 배달 로봇 뉴비를 개발해 1개 점포에서 시범 운영했고, 올해 4분기부터는 정부 실증 사업의 일환으로 여러 점포에서 여러 대의 로봇을 활용한 테스트에 들어간다. 서울 강남·서초·송파 지역 중 배달 수요가 꾸준하고, 로봇 주행 환경 테스트에 적합한 3개 점포가 대상으로 배달 로봇은 총 3대가 투입될 예정이다.


다소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엔 드론 배달 서비스가 도입되고 있다. CU는 지난달부터 강원도 영월주공점에서 약 3.66km 거리에 있는 글램핑장까지 매주 금∼토요일 오후 3시부터 8시까지 드론 배송을 하고 있다. 배달에 사용되는 드론은 무게 17㎏으로 약 20분 동안 충전 없이 비행이 가능하다. 최대 속도는 36㎞/h로, 배달에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10분이다. 세븐일레븐은 경기도 가평수목원2호점에서 매주 화∼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드론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는 인근 펜션 단지 여행객을 대상으로 하며, 이동 거리는 약 1km로 이륙부터 배송까지 3분 정도 걸린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드론 배달 서비스를 상용화되면서 지역과 거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됐다"며 "최첨단 기술을 리테일에 접목해 상품이 고객에게 닿는 라스트마일을 단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