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숏 치료제' 졸겐스마 건보 급여화 유력
'먹는 약' 에브리스디도 급여 신청 진행중
기존 치료제 스핀라자와 경쟁구도 형성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노바티스의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졸겐스마’의 국민건강보험 급여화가 유력한 가운데 기존 치료제인 바이오젠 ‘스핀라자’ 외에도 로슈 ‘에브리스디’까지 국내 시장 진입을 노리고 있어 치열한 각축전이 예상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원숏 치료제’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졸겐스마는 이르면 다음 달 중 급여화 진입이 유력하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약가 협상을 진행 중이다.
SMA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일종으로 척수 운동신경세포가 사라져 근육의 약화나 소실이 일어나는 질병이다. 신생아 1만명당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만 매년 20~30명의 환자가 생기는 셈이다. 그동안 치료법이 없었지만 최근 유전자 치료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특히 졸겐스마는 1회 투여로 완치에 가까운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미국 25억원, 일본 19억원이라는 고가 약품으로 환자의 부담이 크다. 건강보험 부담이 크지만 급여화가 이뤄질 경우 환자 부담금은 최대 600만원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기존에 치료제로 쓰여온 것은 스핀라자다. 스핀라자 역시 비급여 기준 1억2000만원에 이르는 고가 약품이지만 급여화 이후로는 환자 부담이 900만원 선으로 줄어들었다.
에브리스디는 지난해 급여신청 후 관련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올해 안으로 급여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에브리스디의 가장 큰 장점은 ‘먹는 약’이다. 스핀라자와 졸겐스마가 주사제인데 비해서 복용 편의성이 높다. 특히 SMA 환자는 척추 근육이 약화돼 척추측만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척수 주사 치료에 제한이 있는 환자들에게는 대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
넓은 허가범위도 장점이다. 생후 2개월 이상으로 국내 허가가 이뤄졌고, 최근 미국에서는 2개월 미만까지 투약 대상이 확대됐다. 반면 스핀라자는 3세 이전 증상 발현 환자에 한해 국내 급여가 적용되고, 졸겐스마는 일부 유형 환자에 한해 허가가 이뤄졌다. 하지만 에브리스디 역시 초기 1년간 치료 비용이 연간 3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졸겐스마에 이어 에브리스디까지 급여화가 이뤄질 경우 치열한 시장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3개 약이 모두 진출한 미국은 2019년 졸겐스마 출시 이후 스핀라자의 매출 하락세가 시작된 데 이어 에브리스디가 2020년 시장 진입 이후 빠르게 치고 올라가는 양상이다. 하지만 졸겐스마는 원숏 치료제의 특성상 환자가 누적되지 않아 분기별 매출이 1억~1억5000만달러(약 1307억~1961억원) 수준에 머무르는 반면 에브리스디는 먹는 약의 장점을 살려 빠르게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2026년께에는 에브리스디가 가장 높은 미국 내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강력한 공보험 체계가 자리 잡은 나라"라며 "졸겐스마가 급여화 문턱만 넘는다면 원숏 치료제의 특징을 살려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바이오젠도 스핀라자 점유율 수성을 위해 다양한 추가 연구에 나서고 있다. 현재는 무증상이지만 유전자 검사에서 SMA 발현 가능성이 확인된 영아에게 미리 투여하거나 스핀라자 치료 후에도 치료 효과가 불충분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환 치료 임상을 진행 중이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