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원이 의원, 가족돌봄 사유에 가족장애 추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코로나19 가족돌봄휴가 사용한 노동자 16만여 명

김원이 의원, 가족돌봄 사유에 가족장애 추가 더불어민주당 목포출신 김원이 국회의원.
AD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정승현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국회의원이 가족돌봄휴직·휴가에 대한 범위를 장애까지 넓히는 법률개정안을 대표발의 했다.


12일 김원이 국회의원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020~2021년 코로나19 관련으로 가족돌봄휴가를 사용한 노동자는 16만 6000명(고용노동부 출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치료와 휴교, 지역 사회복지기관의 휴업 등으로 가정에 머무르는 자녀와 어르신 등을 직접 돌보기 위해 휴가를 사용한 노동자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노동자가 가족의 질병·사고·노령 또는 자녀의 양육을 위하여 가족에 대한 돌봄 수요가 발생하였을 때 연간 최장 90일의 가족돌봄휴직 또는 연간 최장 10일의 가족돌봄휴가를 신청할 수 있고, 사업주는 이를 허용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돌봄휴직·휴가의 사용 요건으로 가족의 장애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장애인 가정의 보호자는 돌봄 공백시 회사생활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실제로 지난 2020년 국가인권위원회 발표를 보면, 발달장애인 부모 117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가운데 20.5%(241명)는 자녀 돌봄 문제로 부모 중 한쪽이 직장을 그만뒀다고 답했다. 즉, 장애인 가정의 보호자는 코로나19 이후 심각한 경력단절 및 생업포기를 경험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개정안은 가족돌봄휴직·휴가의 사용 요건에 가족의 장애를 추가해, 노동자의 가족 돌봄 권리를 확대하고 생업포기를 최소화하도록 했다.



김원이 의원은 “코로나19 등 감염병 유행과 같은 긴급한 사정이 발생했을 때 장애인 가정 등에서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노동자의 휴가사용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정승현 기자 koei3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