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규모 순위 상승 전망…10위 기록
러시아 11위, 브라질 12위 예상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지난해 한국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주요 7개국(G7) 구성원인 이탈리아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 초반대로 줄어들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충격을 크게 입은 유럽의 지표는 더욱 떨어졌기 때문이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명목 GNI는 2019년 3만2115달러에서 소폭 줄어든 3만1000달러 안팎으로 추정된다. 실질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진 것은 물론 명목 성장률마저 0% 초반대로 낮아지고, 원달러 환율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다만 한국의 1인당 GNI 순위 자체는 오히려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세계은행(WB)이 직전 3년간 평균 환율을 적용해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 이탈리아의 1인당 GNI는 3만4530달러로 그해 한국(3만3790달러)을 근소하게 앞섰다.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이탈리아의 명목 성장률이 한국(0.1%)보다 크게 낮은 -7.9%로 전망했던 점을 감안하면 이탈리아의 1인당 GNI는 한국보다 적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도 전날 신년사를 통해 "우리 경제는 지난해 OECD 국가 중 최고의 성장률로 GDP 규모 세계 10위권 안으로 진입할 전망"이라며 1인당 국민소득 또한 사상 처음으로 G7 국가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아직 지표가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런 예상이 현실화한다면 한국의 1인당 GNI가 G7이라 불리는 주요 선진국(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중 하나를 넘어선 첫 사례가 된다.
이탈리아의 1인당 국민소득은 지금껏 한국을 앞서 왔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6년 한국의 1인당 GNI는 2만9330달러로 이탈리아(3만1950달러)보다 2600달러가량 적었고, 2018년에도 한국이 3만2730달러로 이탈리아(3만3840달러) 보다 뒤졌다.
한편 한국의 경제규모 순위도 올라갈 전망이다.
지금 뜨는 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보면 2020년 한국의 GDP는 1조5868억달러로, 전세계에서 10번째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의 12위보다 두 계단 상승한 것이다. 전년도에 한국보다 앞섰던 브라질과 러시아는 각각 12위와 11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