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재킹 '폭증'…Q1 290만개, Q2 250만개 새롭게 발견
가상통화 시장 위축돼도 해커들에겐 '인기'…작년말 대비 629%↑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컴퓨터를 해킹해 가상통화(암호화폐)를 채굴하는 좀비PC로 만드는 '크립토재킹' 악성프로그램이 올해 2분기에만 250만개 이상이 발견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6일(현지시간) 가상통화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글로벌 보안업체 맥아피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이 전했다. 조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올 2분기에만 250만개 이상의 크립토재킹 악성프로그램을 발견했다. 지난 1분기의 86% 수준이지만, 가상통화 투자 시장이 연초 대비 상당히 위축된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이 같은 해킹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크립토재킹 프로그램은 올해 들어 급격히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에는 40만개 남짓만 발견됐지만 올해 1분기에는 629% 늘어난 290만개가 발견됐다. 보고서는 "올해 들어 가상통화 채굴을 노리는 공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며 "이전에 활성된 악성코드들이 여전히 남아 작동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금 뜨는 뉴스
특히 주요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통해 악성 프로그램을 유포시킬 수 있는 만큼 크립토재킹은 사이버범죄자들이 불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주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크리스티안 비크 맥아피 수석 엔지니어는 "PC와 분리된 여러 기기들을 통해 이 같은 프로그램을 퍼트릴 수 있다"며 "특히 와이파이 공유기, 비디오카메라 등 대체로 허술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수많은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이 손쉽게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사이버범죄자들은 정부의 공식 홈페이지도 공격 대상으로 노리고 있다. 실제로 인도 정부는 지난 17일 정부 공식 사이트들이 크립토재킹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보안 전문가 인드라지트 뷰얀은 "해커들은 접속자 수가 많은 정부 웹사이트를 주로 노리고 악성프로그램을 심어두고 있다"며 "크립토재킹으로 돈을 버는 것은 해커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를 끄는 유행"이라고 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