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WP·CNN "트럼프, 북한 군사대응 위험, 중국이 나서 해결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사설 통해 트럼프 대응 경계·비판


[아시아경제 국제부 기자]미국 유력 언론들이 1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군사 대응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외교적 해법을 촉구하고 나섰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북한에 '대화 카드'를 공식 제시한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 불사"를 언급했다고 전해져 해빙무드 조성을 파토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에서 "세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쟁으로 갈지 우려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북 압박을 강화하더라도 조용히 북한을 외교적 해법으로 이끌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위기의 그림자 속에서 외교정책을 '리셋'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고 말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대화할 수 있었지만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계속하자 군사적 옵션을 거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역할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게 WP의 진단이다. WP는 또 중국이 미국, 일본, 러시아를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불러 모아 북한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대화할 것을 촉구했다.

CNN도 '미국의 대북 군사 옵션은 대가가 따른다'는 제목의 보도에서 콜린 파월 전 국무장관의 '포터리 반'(Pottery Barn·그릇 등을 파는 미국의 생활용품점 체인) 법칙을 소개했다. 그릇을 깨뜨리면 비용을 치러야 한다는 얘기다.


북한에 대한 무력 대응은 오히려 더 많은 비용을 치러야 하며 책임과 함께 부담을 지우는 일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아시아와 중국을 뒤흔들어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은 반격을 불러일으키고 무고한 시민을 비롯해 주한미군 등 수많은 인명피해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CNN은 "트럼프 정부가 전략무기인 장거리폭격기 B-1을 한반도에 출격시킨 것을 넘어 더 강력한 군사적 옵션을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북한이 대화 테이블로 돌아오게 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제부 기자 i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