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역세권 청년주택, 잠실·삼성동 점 찍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서울시, 도시관리계획 변경 절차…공급 확대 팔걷어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서울시가 청년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드로 내건 역세권 청년주택이 강남권에도 잇따라 들어설 전망이다. 주민 반발과 높은 임대료 논란, 시의회 제동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0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동에 역세권 청년주택을 짓기 위한 도시관리계획 변경 절차를 밟고 있다.

서울시가 역세권 청년주택 부지로 점찍은 곳 중 하나는 송파구 잠실동 187-10·11·17·18 일대다. 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에서 걸어서 5분 거리다. 대지면적 1279.6㎡ 규모로, 이곳에는 전용면적 14·49㎡짜리 임대주택 282가구가 계획돼 있다. 이 중 공공임대주택인 역세권 청년주택은 14㎡ 87가구다. 나머지는 14·49㎡ 민간 임대주택으로 채워진다.


다른 한 곳은 강남구 삼성동 140-32·33·34 일대로, 지하철 2호선·분당선 환승역인 선릉역과 3분 거리에 있다. 서울시는 1573.8㎡ 터에 19·23㎡ 292가구의 임대주택 건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중 역세권 청년주택은 19·23㎡ 83가구다.

서울시는 이보다 앞서 강남구 논현동(9호선 신논현역), 송파구 잠실동(2호선 잠실새내역)에서 역세권 청년주택을 추진해 왔다. 현재 사업인가 단계에 있는데, 인가가 완료되는 대로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다만 잠실동 208-4 일대의 경우 시의회 문턱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역세권 청년주택을 지으려면 일반주거지역 또는 준주거지역인 용도지역을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의회 의견 청취를 거쳐야 한다. 잠실동 부지의 경우 주민들이 일조권 침해, 교통난 발생 가능성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으며 시의회에서도 같은 이유로 반대 의견이 나와 안건 처리가 무산됐다.


이 밖에 동대문구 신설동 98-18(1호선 신설동역) 일대에도 역세권 청년주택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역세권의 민간 사업자에 용도지역 상향, 절차 간소화, 세제 혜택 등을 주는 대신 민간 사업자가 주거 면적 100%를 공공·민간 임대주택으로 지어 청년층에게 우선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 중 서울시가 10~25%를 공공임대주택으로 확보해 청년들에게 주변 시세의 68~80%선에서 공급한다.


서울시는 2019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5만가구(사업승인 기준)를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로, 공공임대가 1만가구다.


올해 목표량은 1만5000가구로 현재 45곳에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용산구 한강로2가(1916가구)와 서대문구 충정로3가(523가구), 마포구 서교동(1177가구)에서 사업계획 승인을 받고 본격적인 공사를 하고 있다. 역세권 청년주택 1호인 한강로2가의 최초 임대료는 월 12만~38만원 수준이다.


강남구 논현동, 송파구 잠실동, 성동구 용답동, 강서구 화곡동, 도봉구 쌍문동 등 14곳(5471가구)은 현재 사업인가 단계다. 나머지 28곳(7764가구)은 사업인가를 준비 중이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