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정부가 원전해체 산업 육성을 위해 하반기 중 원전해체 기술연구소 추진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6일 서울역 KTX회의실에서 고리1호기의 안전한 해체를 위한 상용화 기술개발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원전해체 기술연구소 설립과 관련한 의견수렴을 위해 '원전해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이종설 한국수력원자력 팀장은 해체에 필요한 58개 상용화 기술중 현재까지 41개를 확보했으며 2021년까지 나머지 17개 미확보 기술을 모두 개발, 해체 선진국 대비 80%인 상용화 기술 수준을 10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걸명했다.
미확보 상용화 기술개발 노력과 함께 고리1호기 해체에 필수적인 11개 해체장비에 대해서도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두 번째 발제자인 이병식 단국대학교 교수는 '원전해체 기술연구소'에 관한 제언을 통해 "연구소는 해체에 직접 사용되는 상용화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면서, 중·장기적으로 해외진출을 위해 원천기술을 실제 활용하기 위한 실증 및 개량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그는 "원전해체 기술연구소가 산학연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고 해체 기술개발을 종합관리 및 조정하는 콘트롤타워 (control tower)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향후 5년간 과감하고 집중적인 기술개발 투자가 이뤄지면 우리 기술로 고리1호기 해체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해체 연구역량을 결집하고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연구소의 조속한 설립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안창용 산업부 원전환경과장은 "고리1호기 해체가 국내에서 첫 번째 사례인 만큼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며 "미확보된 상용화 기술의 적기 개발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양성 및 산학연간의 협력체계 구축에 힘을 모으고, 나아가 해외 선진국가와의 정보 교류 등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신정부 원전정책의 핵심 과제중의 하나인 ‘원전해체 산업 육성’을 추진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원전해체 기술연구소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지역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거쳐 금년 하반기에 추진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