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너진 교육사다리 복원"… 닻 올린 김상곤號(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5일 취임식서 '교육개혁 완성' 강조
교육계 "포퓰리즘 우려" VS "교육大개혁 실천해야"

"무너진 교육사다리 복원"… 닻 올린 김상곤號(종합) 김상곤 신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답변을 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이민우 기자]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교육 적폐를 걷어내고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과 공존을 내면화한 교육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방법으로 '교육 기회 균등'을 꼽았다.

김 부총리는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교육부가 추구해야 교육 개혁의 핵심은 경쟁만능으로 서열화된 불행한 교육체제를 바꾸는 것"이라며 "새 정부 교육정책은 교육부의 지난 과오에 대한 자기 성찰을 전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부총리는 "대선 과정에서 교육부 해체가 공약으로 등장하고 국민들의 공감을 얻은 배경과 원인에 대해 뼈저리게 성찰해야 한다"며 "기득권을 일방적으로 옹호하거나 국민들에게 권력의 오만함으로 비춰졌던 모습을 새롭게 점검하고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를 위해 누구나 공평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사다리' 복원을 내걸었다. 고교 무상교육을 통해 보편교육 체제를 확고히 하고,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외국어고 문제 및 특권교육의 폐해 등과 연계하며 교육 개혁을 실천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부총리는 이어 "서열화된 고교체제 해소와 대입제도 개혁 등 온 국민의 이해가 걸려 있는 사안은 국민적 공감을 어떻게 확보하느냐에 성패가 달려 있다"며 "아이들의 미래가 달린 교육문제에 대해 진보·보수라는 이념적 차이와 개인이나 집단의 이해를 넘어선 성숙한 논의를 만들어 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자사고·외고 폐지와 수능절대평가제 도입 등 현안에 대해선 국가교육회의 등을 통해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갈 것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김 부총리 취임에 대해 진보와 보수 교육단체들의 반응은 다소 온도차를 보였다. 이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논평을 통해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미흡한 답변들이 있었지만, 김 장관의 취임은 우리 교육을 위해 다행한 일이다"라며 "김 장관은 '촛불혁명'의 요구대로 교육을 바로 세우고 각종 사회 현안을 정의롭게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환영 입장을 밝혔다.


반면 보수교육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신중론을 내세우며 인기영합성 정책 추진을 우려했다. 교총은 지난 4일 발표한 논평을 통해 "김 장관이 각종 정치적 발언과 특정 정당에서 중책을 맡았던 점, 학생인권조례와 무상급식 등 과거 실시한 정책 때문에 교육의 편향성, 포퓰리즘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