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미가 북 ICBM개발완성 인정 못하는 이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5초

한미가 북 ICBM개발완성 인정 못하는 이유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이 4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4형 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하면서 다음 수순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의 완전한 ICBM의 개발을 위해서는 대기권 재진입, 핵탄두 소형화, 고체연료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도발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은 특별중대보도를 통해 발표한 국방과학원 보도에서 "국방과학원 과학자, 기술자들은 새로 연구개발한 대륙간탄도로켓 화성-14형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화성-14형 발사에 성공했다면 군당국이 예측한 ICBM 개발시점보다 1년정도 빠른 시점이다. 북한이 지난 5월 발사한 신형 지대지 중거리탄도미사일(IRBMㆍ화성-12형)은 사실상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당시 한미당국은 북한이 IRBM의 엔진(백두산엔진ㆍ80tf) 4개를 묶어 미국 본토를 겨냥한 ICBM을 올해 안에 시험발사하고 내년까지 전력화에 성공할 수 도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하지만 북한은 한미당국이 예측한 시점보다 1년가량을 앞당겨 ICBM의 시험발사 성공을 선언한 것이다.

북한이 ICBM 개발에 속도를 내는 것은 온전한 핵보유국 지위를 다져야 동등한 위치에서 미국과의 직접 대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사실상 핵무장을 마친 상황에서 국제무대를 향해 핵보유국임을 부각하는 선전활동 등의 작업을 벌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한미 군당국은 ICBM의 완벽한 기술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국방부도 5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북한이 전날 발사한 '화성-14형'미사일을 'ICBM급 신형미사일'로 평가하면서 "고정형 발사대에서 발사하고, 고난도 기술을 필요로 하는 재진입 기술 성공여부의 미확인 등을 고려할 때 ICBM의 개발 성공으로 단정하기는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ICBM 개발 성공을 좌우하는 첫번째 요소는 재진입체 기술이다. ICBM은 발사 뒤 외기권으로 나갔다가 대기권에 다시 진입할 때 엄청난 공기 마찰로 탄두부 온도가 7000∼8000℃까지 상승해 표면이 급속히 녹아들거나 폭발하게 된다. 북한이 지난해 3월 스커드미사일 엔진의 화염으로 재진입 환경 모의시험을 했지만, 당시 온도는 1500∼1600℃ 정도로 추정돼 ICBM급에는 크게 못 미쳤다. 재진입기술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연료성능도 문제다. 북한은 '화성-14형'에 액체연료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액체연료는 추진체에 주입하는 데 30여 분가량 소요돼 한미 정보당국에 포착될 가능성이 크다. 또 독성이 강한 질산을 산화제로 쓰기 때문에 한번 주입한 후 일주일 이내에 쏘지 않으면 엔진이 부식될 우려가 있다. 북한은 미사일 발사의 개발 완료 시점을 앞당기기 위해 익숙한 액체연료 체계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고체연료를 개발하기 위한 추가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핵탄두 탑재를 위한 핵무기 소형화 기술도 필요하다. 하지만 군당국은 북한이 아직은 소형화 기술을 완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통상 미사일에 탑재되는 핵탄두 중량은 648kg이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북한이 한미 양국의 제재나 압박공세에 대응해 핵탄두 소량화를 위한 핵실험 등 추가 도발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북한이 6차 핵실험을 실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풍계리 핵실험장 내 인력과 물자 등의 움직임은 그동안 꾸준히 포착돼 왔다. 일각에서는 비가 자주 내리고 동남풍이 불어 방사능 확산 우려가 큰 여름철보다는 가을이 핵실험의 적기여서 9월 9일 북한 정권 수립일에 실시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핵실험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방부는 이날 국회 국방위에서 "풍계리 핵실험장의 2번과 3번 갱도는 상시 핵시험을 할 수 있는 상태"라며 "폭발력이 증대된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앞으로 핵탄두와 ICBM 등 미사일에 대해 기술적으로 보완하는 작업을 하겠지만 사실상 핵 억제력을 보유하게 된 셈"이라며 "북한은 앞으로 핵보유국이라는 주장을 펼치며 우리와 미국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