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형산불 취약 지역에 진압 헬기 추가 배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국민안전처-산림청 등 관련기관 대책 마련...헬기 진화 라인 구축 등

대형산불 취약 지역에 진압 헬기 추가 배치 강릉 산불 진화 헬기 투입/사진=연합뉴스 제공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대형 산불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해 취약 지역에 진압 헬기가 추가 배치된다. 재난문자도 지자체가 발송할 수 있게 되며, 임대헬기도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에 투입될 수 있게 된다.


국민안전처는 산림청 등 9개 관계기관과 공동으로 이같은 내용의 '대형 산불 대응체계 개선대책'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5월6일 발생해 넓은 면적이 소실된데다 잔불 정리 도중 재발화돼 사망 2명, 부상 6명 등 큰 피해를 남긴 강원도 강릉?삼척과 경상북도 상주 산불과 같은 사례를 없이개 위해서다.


정부는 우선 헬기 출동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산불 진화 취약지대를 없앤다. 영동지역은 원래 봄철 고온건조고 강한 바람(양간지풍·襄杆之風)이 부는 지역이다. 산불 발생 시 대형 산불로 확대될 가능성이 큰 곳이다. 이에 고성~강릉~울진~영덕을 잇는 헬기진화라인을 구축하고, 진화 취약지대였던 춘천, 영월, 영동지역 등에 헬기를 추가 배치한다. 담수지가 먼 곳에서 산불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산림헬기 격납고를 신설하고, 이동식 저수조, 취수보 등도 확충한다.

향후 강풍과 야간에도 진화 작업이 가능한 대형헬기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유관기관 헬기를 신속히 동원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한다.


구체적으로 산림청은 2025년까지 중대형급 헬기 15대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임차지역 내에서만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임차헬기 운항 관련 법령을 개정하여, 타 산불지역에서 임차헬기의 이착륙이 가능토록 할 방침이다.


안전처, 산림청, 현장지휘본부 간 협력체계도 강화한다. 산림청과 지자체에서 긴급재난문자를 직접 발송할 수 있도록 개선해 산불 발생 초기 현장에서 재난문자를 신속?정확하게 발송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산림청은 지휘헬기에서 파악한 산불상황 정보를 국민안전처 등 유관기관에 실시간 제공하고, 지자체에서는 마을방송, 공무원, 민방위조직, 산불감시원 등을 활용해 주민대피 및 시설물 보호 등 조치가 적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지자체의 전문진화대와 산림청의 공중진화대를 확대 육성하는 등 산불진화 체계를 보다 전문화하고, 산불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수림대 조성, 산림 내 시설물 불연성 재료 시공, 진화헬기 안전을 위한 송전선로 안전표식 설치 등의 개선대책도 빠른 시일 안에 추진할 계획이다.


류희인 안전처 차관은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도 유럽처럼 고온건조한 상태로 변화하고 있어 여름철에도 대형 산불이 발생할 수 있다"며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포르투갈 산불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관계기관 간 대응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