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현미 국토부 장관 "청년·신혼부부 공공임대 4700가구 추가 공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청년 전세임대·매입임대 등 서민임대주택 현장 찾아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하반기에 추경을 통해 청년 및 신혼부부 대상 공공임대주택 4700가구를 추가 공급하는 등 2022년까지 청년 임대주택 30만실, 신혼부부 임대주택 20만가구를 조속히 공급할 것"이라고 26일 밝혔다.

이날 김 장관은 취임 후 첫 현장 방문지로 동대문구 휘경동 청년 전세임대주택과 광진구 자양동 매입임대주택 등 서민임대주택을 찾았다. 현 정부의 서민주거 안정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한 일정으로 풀이된다.


이 자리에서 "전셋값이 계속 오르고 월세 비율이 높아져 고통 받는 서민들의 설움을 달래는 것이 최고의 정책 과제"라며 "세대·소득별 맞춤 정책을 통해 주거복지에서 소외받는 계층이 없도록 모든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국토부는 이번 하반기 추경을 통해 올해 하반기에 청년 매입임대주택과 청년 및 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등 청년·신혼부부 대상 공공임대주택 4700가구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론 청년 매입임대를 신설해 연내 1500가구를 신규 공급한다. 또 청년 전세임대를 기존 6100가구에서 7300가구로 1200가구로 확대한다. 신혼부부 전세임대도 4000가구에서 6000가구로 2000가구 늘릴 예정이다.


이와 함께 청년 임대주택 30만실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해 노후공공시설물의 재건축 등을 통한 셰어하우스형 청년임대주택의 사업모델을 올 하반기에 구체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우선 김 장관은 역세권 등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공급하는 저렴한 청년임대주택의 선도 사업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김 장관은 주거여건이 열악한 고시원에 거주하다가 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한 어르신도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영구임대와 매입임대주택의 공급 물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저소득 노인과 장애인 등에게 우선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영구임대와 매입임대주택 등에 건강관리·문화·여가 서비스가 결합된 어르신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도 5만실을 공급할 계획이다.


또 이번 추경을 통해 영구·국민임대 사업승인 물량을 9000가구에서 1만5600가구로 6600가구 확대할 방침이다. 고시원과 비닐하우스 등 주택 이외의 열악한 거처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해 체계적인 주거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등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해소를 위해서도 노력하기로 했다.


한편 김 장관은 지난 19일에 발표한 '주택시장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선별적 맞춤형 대응방안'도 차질 없이 이행해 부동산 투기를 근절하고 서민층 실수요자를 보호하는 등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부동산 가격 과열 양상이 진정될 때까지 현장을 점검하고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여 과열 양상이 확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추가조치를 단호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