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최근 부동산과 연계된 금융기관 대출과 투자상품 발행이 늘면서 지난해 말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164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금융 익스포저가 과도하게 늘 경우 부동산 경기변동에 따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은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부동산 관련 가계 대출과 기업 여신, 금융투자상품의 합계가 지난해 말 기준 1644조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100.4%, 민간신용 대비 51.9%에 이르는 규모다.
가계가 904조원으로 전체 55%를 차지했고, 기업이 578조원(35.1%), 금융투자자 162조원(9.8%) 순이었다.
가계의 경우 공적기관을 통한 주택구입과 임차대출 등 보증대출이 빠르게 확대됐다. 부동산 관련 기업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비중은 낮아졌으나 주택분양 등 사업자보증이 크게 증가했다. 금융투자상품은 유동화증권(MBS) 비중이 높아지고, 회사채·기업어음(CP) 등 직접투자 상품은 감소했다.
리스크 최종부담 주체별로는 금융기관 익스포저가 924조원(56.2%)으로 가장 비중이 컸고, 보증기관 534조원(32.5%), 금융투자자 185조원(11.3%) 순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2014년부터 공적기관의 보증관련 익스포저가 빠르게 늘고 있어 금융안전 측면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적보증기관은 서민과 취약계층의 주거 안정 지원이나 차주 상환부담 완화 등에서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으나 부동산 관련 대출 신용리스크의 상당 부분을 이들 기관이 부담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