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융안정보고서]대출금리 1.5%P 오르면, 고위험부채 14조 늘어난다(상보)

시계아이콘01분 4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금리 3%p 인상땐 일부 은행 부실 위험 가능성 커
내 집 마련 나선 35~59세 가계부채 증가세 주도
은퇴후 자영업 진출·평균수명 연장 등도 한 몫


[금융안정보고서]대출금리 1.5%P 오르면, 고위험부채 14조 늘어난다(상보)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조은임 기자]대출금리가 1.5%포인트 오르면 고위험가구 수가 6만 가구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가 1360조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차주들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도 금리인상기에 큰 리스크로 분석됐다. 또 금리가 3%포인트 이상 오르면 일부 은행의 경우 부실위험에 빠질 것으로 우려됐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1.5%포인트 오르면 고위험가구의 수는 6만 가구, 부채 규모는 14조6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고위험가구는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 비율(DSR)이 40%,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DTA)이 100%를 초과하는 가구를 뜻한다. 부동산, 예금 등 모든 보유 자산을 처분해도 부채를 갚기 어려운 가구다.


대출금리가 0.5%포인트, 1.0%포인트 올라갈 경우엔 고위험가구는 각각 8000가구, 2만5000가구, 부채규모는 4조7000억원, 9조2000억원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금리의 상승폭에 비해 고위험가구의 수와 부채가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라는 얘기다.


한은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소폭 상승하는 경우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의 저하 수준이 제한적인 반면 단기간 대폭 오르는 경우엔 고위험가구 수와 부채가 비교적 크게 늘면서 가계부채의 취약성이 높아질 소지가 있다"고 전했다.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기준 31만5000가구로 총 부채가구의 2.9%를 차지한다. 이들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 규모는 전체의 7.0%인 62조원에 달한다.


특히 내 집 마련에 나선 35∼59세가 가계부채 증가세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차입계층'으로 불리는 이들은 왕성한 경제활동을 바탕으로 노후대비와 거주, 투자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택 매매에 나서는 것으로 파악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동산 매입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출에 나선 35∼59세(적극차입계층)의 증가가 가계부채 누증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중 상당부분은 평균 부채규모가 큰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차지했다. 베이비붐 세대의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는 작년 5800만원으로 평균치(4400만원)를 상회한다. 이들이 본격적인 퇴직기를 맞으면 수입감소에 따라 부채 상환부담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적극차입계층의 금융부채는 지난 5년새 급격하게 늘었다. 부채 증가폭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가팔랐다. 올 1분기 39세 이하 연령대의 차주당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3400만원으로 5년 전인 2012년 1분기(1500만원)보다 2배 넘게 증가했다. 40∼49세의 경우 같은 기간 36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50∼59세는 3800만원에서 4200만원으로 늘었다. 반면 60∼69세의 경우 2900만원에서 2700만원, 70세 이상은 2000만원에서 1600만원으로 각각 200만원, 400만원씩 부채가 감소했다.


은퇴후 자영업에 진출하면서 부채를 늘려가는 추세도 나타났다. 50세 이상 자영업자의 수는 작년말 316만2000명으로 2006년(264만2000명)보다 52만명이 늘었다. 이들의 자영업자 가계대출 잔액도 같은 기간 63조원에서 98조2000억원으로 35조2000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외에 평균수명 증가, 정년 연장 역시 가계부채 누증의 요인으로 지목됐다. 은퇴한 계층이 경제활동을 지속하면서 보유주택 처분 시기가 늦어져서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은퇴연령은 2014년 기준 72.9세로 주된 직장에서의 평균 은퇴 연령 51.6세(통계청, 작년 기준)보다 20년 넘게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채무상환능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 1분기말 금융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45.8%로, 2010∼2016년의 평균치(45.5%)와 유사한 수준이다.


국내 시장금리가 내년 말까지 1%포인트, 2%포인트, 3%포인트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국내은행의 BIS 비율은 3월말 현재 15.1%에서 각각 14.9%, 14.4%, 13.7%로 낮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시장금리가 3%포인트 오른다면 국내은행의 BIS(국제결제은행) 비율이 1.4%포인트 하락해 건전성에 빨간 불이 켜질 것으로 우려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 상승이 예상보다 큰 폭인 3%포인트로 이뤄질 경우 일부 은행의 BIS 비율이 규제기준을 하회한다"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