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름 뿐'인 무더위 쉼터, 올 여름엔 제 몫 하려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정부-지자체 합동 점검 결과 62곳 '미비점' 적발..."지난해보다 예산 늘리고 꼼꼼히 점검"

'이름 뿐'인 무더위 쉼터, 올 여름엔 제 몫 하려나? 동대문구청 1층 로비 무더위쉼터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국민안전처는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전국의 무더위쉼터를 조사한 결과 62건의 운영 미비점을 적발해 시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안전처는 보건복지부, 농식품부, 고용노동부 등 관련 부처, 전국 17개 시ㆍ도 및 기초지자체 등과 함께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소재 4만2900여개의 무더위 쉼터에 대한 합동점검을 실시했다. 무더위쉼터란 정부가 독거노인 등 폭염 취약계층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 냉방비 예산을 보조해주면서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지정한 곳이다. 노인정, 경로당, 복지회관, 마을회관, 보건소, 주민센터, 금융기관 등이다. 지난해보다 5% 정도 늘어난 예산 83억7000만원이 냉방비로 보조된다.


그러나 운영이 부실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냉방기기가 아예 설치돼 있지 않거나 일정 시간 이후에는 문을 닫는 곳, 홍보가 잘 안 돼 무더위 쉼터인지 알수가 없는 곳 등이 많았다. 실제 이번 점검 결과 홈페이지 등 쉼터 정보 입력 미흡(11건), 쉼터 운영시간 미준수(1건), 안내표지판 미정비(12건), 에어컨 등 시설관리 미흡(4건), 관리대장ㆍ홍보물 미비치(6건) 등의 지적을 받은 곳이 많았다. 또 폭염예방 등을 위한 홍보계획 미비(6건)와 논ㆍ밭, 야외현장 등 취약지역 안전관리 대책 미흡(2건), 재난도우미 교육미흡(4건) 등을 지적받은 지자체들도 있었다.

안전처는 이번 점검을 통해서 미흡사항 정비와 함께 냉방비 경감을 위해 태양광 시설 설치 등 수범사례도 발굴ㆍ전파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7~8월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안전처는 이달초 폭염 대책을 발표하면서 냉방시설이 확보된 곳만 무더위 쉼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냉방비 예산을 전년보다 확대(전년의 105.7%, 84억)했다.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안전디딤돌(앱)과 안전처 및 시ㆍ도 홈페이지를 통해서 무더위 쉼터의 위치, 운영시간, 규모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도 했다. 또 지역 자율방재단과 마을 이ㆍ통장 등 민간 봉사자들과 함께 무더위 쉼터의 시설 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국민안전처,시ㆍ도 폭염 상황관리반이 이용불편사항 신고를 직접 받아 적극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이한경 안전처 재난대응정책관은 "본격적인 폭염에 대비해서 지역별 인구, 폭염일수, 취약계층, 온열질환자수 등 폭염취약성 분석을 통해 부족한 부분의 홍보 강화와 정비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