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예방법 지켜야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최근 고속도로에서 버스기사의 졸음운전으로 4명이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블랙박스 영상을 보면 버스는 앞차와 간격이 좁아지고 있는데도 속도를 줄이지 않고 그대로 추돌했다. 수십 미터를 더 진행했다.
지난해에도 관광버스 기사의 졸음운전으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졸음운전은 음주운전과 함께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15년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운전자 400명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공단이 졸음운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1주일 동안 10명 중 4명이 졸음운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9%는 사고가 날 뻔한 이른바 '아차사고' 경험까지 있었다.
졸음운전을 할 때 운전자의 의식 상태는 수초에서 수십 초 동안 외부의 자극을 감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반응을 못하는 수면상태로 미세수면(microsleep) 상태에 빠진다. 시속 100㎞로 달리는 차의 운전자가 10초 정도만 미세수면 상태가 되면 약 280m를 무의식중에 달리게 되는 셈이다.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일반 교통사고와 달리 위험을 피하고자 하는 회피반응이 없다. 인명사고를 동반하는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이유이다. 치사율이 일반 교통사고의 2배 정도이다.
최근 3년 동안(2012∼2014년) 고속도로 사고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망자의 10.8%가 졸음운전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졸음운전 치사율은 16.1명으로 전체 고속도로 사고 치사율 9.1명보다 약 1.8배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졸음운전 원인은=졸음운전은 피로누적과 식곤증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파악됐다. 교통안전공단이 운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졸음운전의 제일 흔한 원인으로 피로누적과 식곤증이라고 답했다. 피로와 식곤증은 대부분 수면부족 혹은 수면장애 때문에 발생한다.
평소 수면시간 보다 4시간 부족하면 혈중 알코올농도 0.04%에 버금가는 정도로 졸립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수행력이 떨어지며 한숨도 자지 않으면 면허취소 수준인 혈중 알코올농도 0.09% 보다 2배 정도 수행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정도이다.
수면 부족이 음주보다 더 심각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 불면증, 일주기리듬장애와 기면증 등 다양한 수면 질환도 심한 졸림증을 초래한다.
불면증이 있는 경우 1.78배,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2.09배, 기면증이 있는 경우 8.78배로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이 같은 수면 질환을 적절히 치료받을 경우에 졸음운전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졸음운전은 단순히 피로가 누적돼서라기보다는 수면 부족 혹은 동반된 수면 질환에 의해 초래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부족한 수면을 보충하거나 수면 질환을 적절히 치료받음으로써 졸음운전으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교통안전공단 설문조사 연구 보고자료 (2015년 12월)에서 운전 중 졸음 퇴치법으로 선호하는 것은 자가용 운전자의 경우에는 주로 환기를 하거나 음악을 듣는 것이라고 답했다. 사업용 운전자는 음료 등을 마신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수면 부족이나 수면 장애로 인한 졸음은 어떤 방법으로도 대체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커피나 카페인 음료를 많이 마셔도 일시적 효과만 있을 뿐 지속적으로 운전을 하면 결국 졸음운전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영국에서는 수면무호흡 증후군을 진단받을 경우 교통 당국에 신고를 할 의무가 있다. 이를 무시하고 운전을 하다가 이 질환과 관련된 사고에 연루됐을 경우 1000 파운드(한화 약 14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한다. 자동차나 운전자에 적용해 졸음운전을 방지하는 스마트,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이 최근에 속속 개발되고 있다. 완전 자율주행차가 아니라면 일시적 방편에 불과하고 과신해서는 안 된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졸음운전 예방은=졸음운전의 위험성이 음주 운전에 비하여 결코 낮지 않다는 많은 연구 결과는 운전자들이 운전 중 졸지 않게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졸음운전은 음주운전처럼 단속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예방이 최선이다.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수면부족을 해소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평소 충분한 수면 시간을 갖도록 노력하고 특히 장거리 운전전날에는 충분한 수면 시간을 갖도록 해야 한다.
장시간 연속 운전은 자제해야 한다. 계속되는 운전은 운전자의 주의력과 각성 수준을 떨어트린다. 2시간 연속 운전할 때마다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게 좋다.
운전 중 졸리면 무조건 쉬고 잠을 자야 한다. 잠깐이라도 잠을 보충하는 것이 졸음운전 사고의 가장 중요한 예방책이다. 졸음 쉼터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국토교통부 조사 자료를 보면 졸음 쉼터 운영 후에 사고 발생 건수와 사망률이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신경과학회 소속 정기영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수면 장애는 졸음운전의 중요한 원인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며 "직업 운전자는 수면무호흡증후군이나 기면증과 같은 수면 질환에 대한 선별검사가 필요하며 선별 검사에서 수면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의사를 만나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