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간판 바꾸겠다"…2개월 지났는데 아직도 '전경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04초

3월말 쇄신안 내놓으며 '한기련' 새출발 다짐
절차 못밟고 지연…새 정부 정책 파트너 기능도 축소
국제외교 구심점으로 돌파구…"30년 축적한 네트워크"


'간판 바꾸겠다"…2개월 지났는데 아직도 '전경련' 여의도 전경련 빌딩 전경.
AD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50년간 유지해온 전국경제인연합회라는 명칭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집니다. 한국기업연합회로 재탄생하겠습니다."


전경련은 지난 3월말 쇄신안을 내놓으며 기존의 이름을 버리고 한국기업연합회(한기련)로 새출발 하겠다고 다짐했다. 간판을 바꿀 만큼 이미지 쇄신이 절박했다. 하지만 2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전경련은 이름을 바꾸지 못하고 있다. 이사회 구성을 마무리 짓지 못하면서 정관변경 등 절차가 밀린 탓이다.

명칭 변경은 이사회 총회에서 정관을 바꾸고, 주무관청인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첫 단추는 이사회를 새로 구성하는 일이다. 전경련 지난 3월말 오너 중심의 회장단 회의를 없앴다. 대신 회원사 전문경영인 중심의 경영이사회를 신설해 주요 의사결정을 맡기기로 했다. 당초 목표는 15~20곳이었지만 현재까지 12개 기업만이 참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 구성이 난관에 부딪히면서 자연히 총회와 정관변경 등의 작업은 뒤로 밀렸다. 그 사이 조기 대선과 새정부 출범으로 정부조직 개편까지 진행되며 명칭 변경 시점은 더 기약할 수 없게 됐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설립허가 취소' 등 여론이 다시 불거질 수도 있어 고비는 계속 남아있다.


전경련은 이사회 구성 시점을 서두르면서 민간외교 등 전경련 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지는데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새 정부의 일자리위원회에서도 배제되며 대정부 창구 기능이 축소되고 있는 만큼 돌파구는 민간외교에 있다고 보고 있다. 전경련은 31개국, 32개 단체와 협력채널 운영하고 있는 등 국제 네트워크가 폭넓다. 최근에는 미국에 경제사절단을 파견해 미 정부의 주요인사들과 통상문제를 논의하기도 했다.


다음달 말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순방에서도 동행 기업을 모으고 한미 기업간 경제협력 선행 협의 등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첫 미국 순방 때도 전경련이 주도적으로 참여한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전경련이 1960년대부터 30년이 넘도록 상대국들과 오랜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등 폭넓은 국제 네트워크를 갖춘 것은 사실"이라며 "이는 단기간에 대체될 수 없는 부분인 만큼 새정부 역시 이를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