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민가능처분소득, 가계 비중 늘고 - 기업 비중 줄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19초

외환위기 이후 가계소득 비중↓·기업소득 비중↑ 지만…2010년 기점으로 '반전'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2010년을 기점으로 국민가능처분소득 중 가계소득 비중은 늘어난데 반해 기업소득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민처분가능소득이란 가계·기업·정부 등 각 경제주체가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의 규모다. 17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권태신)은 '최근 우리나라 기업 및 가계소득 현황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외환위기 이후 지속되던 가계소득비중 하락과 기업소득 비중 상승 추세가 2010년을 기점으로 반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가능처분소득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64.2%에서 2015년에는 66.7%로 2.5% 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기업소득 비중은 2010년 11.7%에서 2015년 9.3%로 2.4% 포인트 하락했다. 기업소득 평균증가율도 2010년을 전후로 2006년~2010년 기간 중 21.4%에서 2011년~2015년까지 ?(마이너스)0.7%로 크게 줄었다. 이에 반해 가계소득 평균 증가율은 2006년~2010년 기간 중 5.1%에서 2011년~2015년까지 4.9%로 소폭 둔화됐다.

우리나라와 정반대로 OECD 국가의 기업소득 비중은 소폭 증가한 반면 가계소득 비중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이 OECD 27개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가계소득 비중 평균은 2010년 69.6%에서 2014년 67.5%로 2.1% 포인트 하락했다. 27개 분석 국가 중 6개 국가만 가계소득 비중이 증가했는데 우리나라는 세 번째로 증가폭이(2.4% 포인트 상승) 큰 국가였다.


기업소득 비중의 경우 OECD 27개 국가 평균은 2010년 9.0%에서 2014년 9.3%로 0.3% 포인트 상승했으며, 우리나라는 하락한 16개국 중 9번째로 하락폭(2.1% 포인트 하락)이 큰 국가로 조사됐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가계소득 비중이 늘어나고 기업소득 비중이 줄어들면서 OECD 27개 국가 평균과 우리나라 가계소득과 기업소득 비중간의 격차가 모두 1% 미만으로 줄었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국민가능처분소득 중 가계소득 비중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원인(2000년 72.0% → 2015년 66.7%로 감소)은 자영업 부진과 순이자 소득 감소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부터 2015년 기간 중 순이자소득은 3.9% 포인트, 영업잉여 소득은 9.4% 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기업부문에서 가계부문으로의 소득 환류성을 보여주는 근로소득은 5.2% 포인트, 배당금 비중은 3.2% 포인트 상승했다. 김창배 연구위원은 "분석결과는 외환위기 이후 가계소득 비중이 줄고 기업소득 비중이 증가하게 된 원인을 기업부문이 정당한 몫 이상을 가져갔기 때문이라는 일각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제는 국민처분소득을 단순히 가계와 기업부문으로 나눠 양부문의 소득을 배분하려는 제로섬 방식의 접근을 지양하고 각 부문의 소득 기반을 확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임금·배당금 확대 등 기업소득을 가계소득으로 이전하는 것을 강요하기 보다는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와 자영업 부문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해 가계의 소득기반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