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朴대통령 파면]개헌 고리로 非文 연대 궤도에…연정前 단계로 격상(종합)

시계아이콘01분 4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탄핵 인용으로 '벚꽃 대선' 현실화,


대선도 새 국면…비패권지대 구체화

양 극단에 맞서기 위한 '빅텐트' 활짝


민주당 '탈당' 김종인이 축

정운찬·김황식·김무성 등도 눈여겨봐야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안 인용으로 '개헌'과 '연정'을 고리로 한 비문(비문재인) 연대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벚꽃 대선'이 현실화하자 유력주자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맞서기 위한 '빅텐트'가 조만간 활짝 펼쳐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朴대통령 파면]개헌 고리로 非文 연대 궤도에…연정前 단계로 격상(종합)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왼쪽)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왼쪽 두 번째),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왼쪽 세 번째) 등이 토론회에 참석에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AD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빅텐트는 친박(친박근혜)ㆍ친문(친문재인)의 양 극단을 제외한 비패권지대와 동의어다. 최근 탈당한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축으로, 비문 연대로 발전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김 전 대표는 연일 여야를 가리지 않고 '개헌파' '연정파' 정치인들과 종횡무진 회동하며 이 같은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행보에 나선 상태다.


범여권 관계자는 "김 전 대표의 머릿속에는 탄핵 선고일 이후의 대선구도 변화가 담겨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세 규합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에 돌입했다"고 분석했다.


김 전 대표는 전날 CBS라디오에 출연, "박근혜 정부가 기력을 상실했는데 정권은 이미 교체된 것 아닌가. 탄핵이 이뤄지면 정권교체는 끝난 상황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조기 대선을 치르면 지금 상황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선거구도가 짜이지 않겠는냐"고 반문했다.


방점은 연정에 찍혔다. "현재 여건으로 볼 때 누가 대통령이 되든 정치권이 어느 정도 연합하는 형태를 띨 수밖에 없다"며 "책임있는 정치인이 나서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고난의 길'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김 전 대표는 아예 새로운 정치세력 형성을 기치로 내걸었다. 비문 연대가 향후 연정 구성을 위한 예비단계로 격상된 셈이다.


그는 지난 9, 10일 양일간 바른정당 대선주자인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와 잇따라 회동했다. 앞서 가깝게 지내는 진영, 변재일, 박용진, 최명길 등 6명의 민주당 의원들과 조찬 모임을 가졌고, 탈당을 선언한 지난 7일에는 국민의당에 합류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함께 조찬을 했다. 범여권 관계자는 "김 전 대표는 국가 안정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평가를 했다.


공감대는 이미 형성됐다. 남 지사 등은 "권력은 공유해야 커진다"면서 동참 의사를 밝힌 상태다. 김 전 대표의 탈당에 바른정당과 국민의당도 반색하고 있다. 바른정당(32석)과 국민의당(39석)에 자유한국당에 잔류한 비박(비박근혜) 의원까지 합하면 100석 이상의 비문 연대 구성이 가능하다. 민주당 내 비문파 의원들의 가세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비문 연대의 고리는 다양하다. 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에서 한솥밥을 먹었지만 현재는 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나뉘어 있는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 의원들이 대표적이다. 또 민주당 내 개헌파 의원들 상당수도 김 전 대표를 따르고 있다. 이들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순차적으로 탈당해 합류할 것으로 관측된다.


유력 정치인 중에선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과 정의화 전 국회의장, 김황식 전 국무총리 등이 거론된다. 여당 대표를 지낸 김 의원은 지난해 11월 여권 '잠룡' 가운데 가장 먼저 불출마 선언을 하면서 탄핵 정국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정 전 의장은 김 전 대표와 개헌을 위한 빅텐트에 공감하면서 장외에서 거사를 도모해 왔다.


김 전 총리는 지난 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선 과정에 관계없이 평소 국가의 장래를 걱정하는 입장에서 개헌에 관해 계속 관심을 갖고 내 의견을 집필 등으로 피력한 바 있다"며 "지금까지 해온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도움이 된다고 한다면 필요한 역할을 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본인의 개헌 역할론을 강조한 것이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