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난해 746조 긁었다…전년비 12%↑, 카드사 수익은 줄어든 이유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지난해 카드 이용액이 두자릿수 이상 신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카드사 순익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이용액에 비례해서 발생하는 마케팅 비용이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금융감독원(http://www.fss.or.kr)에 따르면 현재 신용카드 발급매수는 9564만매로 전년말(9314만매) 대비 2.7%(250만매)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휴면카드수(850만매)도 전년말 대비 2.3% 증가했다. 전체 신용카드 발급매수 대비 휴면카드 매수 비중은 8.9%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체크카드 발급매수는 1억 848만매로 전년말(1억 527만매) 대비 3.0%(321만매) 증가했다.

신용·체크카드 이용액은 746조원으로 전년(665.9조원) 대비 12.0%(80.1조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구매전용카드 이용액(42.8조원), 국세카드납부액(43.7조원) 제외시 카드이용액은 659.5조원으로 전년(602.6조원) 대비 9.4% 증가했다.


신용카드 이용액은 596조원으로 전년(534.9조원) 대비 11.4%(61.1조원) 증가했다. 체크카드 이용액(150조원)은 14.5%(19조원) 증가해 신용카드 이용액 증가폭을 지속 상회했다.


카드대출(현금서비스·카드론) 이용액은 97.9조원으로 전년 대비 3.5%(3.3조원) 증가했다. 현금서비스(단기 카드대출) 이용액은 소폭 감소했으나 카드론(장기 카드대출)은 증가폭이 확대되는 추세로 카드대출 증가를 견인했다.


8개 전업카드드사의 순이익은 1조 8134억원으로 전년(2조 126억원) 대비 9.9%(1992억원) 감소했다. 카드론 확대로 카드론 이자수익(2972억원↑)이 늘고 조달비용(1449억원↓)이 감소했다.


가맹점수수료율 인하에도 불구하고 카드이용액이 크게 증가해 수수료수익(3156억원↑) 증가로 이어졌으나 카드이용액에 비례해서 발생하는 마케팅비용(5194억원↑) 등이 더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대손준비금 전입액 등 대손비용(2816억원↑)도 증가했다.


카드사별로는 삼성을 제외한 7개사의 순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말 현재 카드사의 (총채권)연체율은 1.44%로 전년말(1.47%) 대비 0.03%포인트 하락했다. 카드대출 연체율은 2.26%로 전년말(2.24%)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카드채 스프레드는 28bp로 전년말(36bp) 대비 8bp 하락했다.


카드사의 조정자기자본비율은 25.5%(경영지도비율 : 8% 이상)로 전년말(27.1%) 대비 1.6%포인트 하락했다. 레버리지비율은 4.3배로 전년말(4.1배) 대비 소폭 상승(0.2배↑) 했으나, 카드사 모두 감독규정상 지도기준(6배 이내)을 준수했다.


금감원은 미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인상 방침 등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점증함에 따라 카드사 건전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따른 조달여건 악화에 대비해 조달금리·카드채 스프레드 변동 등을 수시로 체크하고 카드론 취급실태를 면밀히 분석, 이상징후 발견시 카드사 손실흡수능력을 신속히 점검하는 등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