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운상가 돌아온다]창업·제조기지로 재탄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8초

[세운상가 돌아온다]창업·제조기지로 재탄생 세운상가군 위치도
AD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1970~1980년대 '전자산업의 메카'로 불렸던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 일대가 장인과 청년이 함께하는 창업·제조기지로 다시 태어난다. 세운상가에서 퇴계로에 이르는 1㎞ 구간은 청계천과 연계된 보행 중심축으로 탈바꿈된다.

서울시는 2일 발표한 이 같은 내용의 '다시·세운 프로젝트 창의제조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핵심은 기존 장인의 기술과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사물인터넷(IoT) 등 기술이 접목된 4차 산업혁명 플랫폼, 일명 '메이커 시티(Maker City)' 만들기다. 1600개 업체가 입주하고 있는 세운상가군을 기존 산업과 새로운 기술의 융합을 통해 제조업 기반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전략적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세운상가군은 세운초록띠공원(옛 현대상가)과 세운상가 가동, 청계·대림상가, 삼풍상가·풍전호텔, 신성·진양상가 등 종로부터 퇴계로까지 남북으로 1㎞ 이어진 7개 건물을 통칭한다.

이 프로젝트는 3단계로 나눠 진행된다. 1단계는 4차 산업혁명 플랫폼을 위한 거점공간을 만들기로, 올해 세 차례에 걸쳐 전략기관 입주공간, 청년 스타트업·메이커 입주공간, 시민문화공간의 순으로 문을 연다.


우선 이날 시가 유치한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스타트업 육성 전문기관 씨즈, 팹랩서울 등 4대 전략기관의 입주공간 2곳이 문을 열고 스타트업의 창업 기반 지원에 나섰다. 오랫동안 비어있던 아세아상가 3층(약 630㎡)에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공간이, 세운상가 지하 보일러실(약 165㎡)에 제작소가 조성됐다. 서울시립대 시티캠퍼스는 2곳에 모두 강의실을 열고 상인, 입주 스타트업, 일반 시민 등을 대상으로 기술·창업을 교육한다. 도시공학과, 건축학부 등 현장중심형 학과의 현장교육과 실습, 기술·창업, 도새재생, 인문교양 교육이 주 내용이다.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시제품 제작 프로그램, 기술 협업 워크숍 등 기술·제조 분야 사회적경제 조직을 전방위로 지원한다.


5월에는 '세운 메이커스 큐브'라는 이름의 29개 창업공간이 조성된다. 세운상가에서 대림상가로 가는 구간에 조성 중인 보행데크 옆 난간 쪽에 위치한다. 스타트업이 입주해 창작·개발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드론개발실, 스마트 의료기개발실 등이 만들어진다. 8월엔 이런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는 문화시설이 시민을 맞는다. 남산과 종묘가 한 눈에 들어오는 세운상가 8층 옥상에는 전망대가 있는 쉼터가 생긴다. 옛 초록띠공원은 세운광장으로 변신하며, 지하에는 공사 중 발견된 조선시대 중부관아터와 유적이 현지보존방식으로 전시된다.


2단계로 세운상가에서 퇴계로에 이르는 구간이 보행 중심축으로 완성된다. 1단계와 맞물려있는 사업으로, 종로부터 퇴계로까지 남북 방향으로 약 1㎞에 달하는 세운상가 일대가 청계천과 교차하는 보행 중심축으로 탈바꿈된다. 일단 청계천 복원 당시 철거됐던 3층 높이의 공중보행교가 오는 8월 세운보행교로 부활한다. 세운상가에서 청계·대림상가로 이어지는 보행 데크 중 청계천을 지나는 구간이 공중 보행교가 된다. 삼풍상가에서 진양상가에 이르는 보행교는 2019년12월 완공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청계천에서 종묘~남산까지 이어지는 남북 보행축 만들기가 마침표를 찍는다.


박원순 시장은 세운상가 8층 옥상에서 진행된 발표 현장에서 "1980년대부터 빠르고 유연한 생산방식으로 도심 제조산업의 성공신화를 만들었던 세운상가군이 청년의 혁신성, 기술 장인의 노하우, 미래 기술이 결합된 4차 산업혁명의 전진기지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