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마 '49층'… 결국 달린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의 '재건축 35층 층수 제한' 규제 발표에도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결국 초고층 재건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은마아파트는 사거리 상가동과 일반 주거동 모두 최고 49층으로 계획한 기존 정비계획안의 수정없이 주민설명회, 조합 설립, 사업시행, 시공자 선정 등의 일련의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이에 따라 행정 결정권을 쥐고 있는 서울시와 은마아파트의 손을 들어준 강남구청, 은마아파트 재건축추진위원회 간의 갈등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은마 '49층'… 결국 달린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단지 전경
AD

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은마아파트 재건축추진위원회는 3일 오후 강남구민회관에서 재건축 관련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당초 일각에서는 정비계획안 수정으로 총회가 미뤄질 가능성을 점쳤지만 추진위는 49층 계획안 그대로 공표에 나서기로 했다.

이날 추진위가 내놓을 계획안의 골자는 종상향 추진으로 얻어내겠다는 준주거지역은 물론 3종주거지역까지 모두 최고 49층으로 짓겠다는데 있다. 추진위 관계자는 "강남 도심권역과 인접한 곳으로 향후 주변개발에 따라 일부 지역은 용도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서울시와 이견을 보이고 있지만 주민에게 직접 설명한 후 추후 조치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추진위는 좁은 대지면적과 수익성을 감안하면 49층 재건축은 반드시 이뤄져야한다는 입장이다. 초고층을 통해 동간 간격을 넓혀야 주민 편의는 물론 일대 아파트 단지의 조망권까지 확보된다는 설명이다. 현재 추진위는 사거리 상가동과 단지 중앙을 49층 주거동으로 계획했다.

대신 임대주택을 최대치로 반영해 공공성을 높이겠다는 게 은마아파트의 입장이다. 실제 추진위가 공개할 정비안에는 소형주택(임대주택) 840가구가 포함됐다. 계획한 준주거에 154가구, 제3종에 686가구로 전용 59㎡ 물량이 총 771가구로 가장 많다. 추진위 관계자는 "일대 강남권 재건축 사업지 중에 가장 많은 임대를 공급할 계획으로 서울시가 강조하는 공공성 반영에서도 전혀 문제될 게 없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 주택 공급 규모는 중대형에 집중했다. 총 5940가구 중 60㎡이하는 1423가구, 60~85㎡는 1715가구인 반면 85㎡초과 물량은 절반에 가까운 2802가구에 달한다.


추진위는 49층 재건축을 위해 용적률 인센티브를 최대 20%까지 받아내겠다는 방침이다. 우수디자인을 통해 15%를 우선 확보하고 녹색건축물, 신재생에너지 설비 도입 등을 통해 나머지를 채우겠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허용용적률은 230%로 법적 상한용적률은 준주거 499%, 제3종 299%까지 늘어난다.


하지만 서울시의 입장은 변함없다. 은마아파트가 입지한 학여울역 일대가 아파트 단지와 양재천으로 인해 주변과 단절돼 있는 주거지역인 만큼 도시기본계획인 '2030 서울플랜'의 예외 적용을 받을 수 없다는 게 서울시의 입장이다.


정비업계에서도 서울시의 손을 들어주는 모양새다. 앞서 반포지구와 잠실지구에도 같은 이유로 규제 강화를 언급한데다 자칫 다른 재건축 단지와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될 수 있어서다. 최근에는 신연희 강남구청장까지 초고층 재건축을 거들고 나서며 박원순 서울시장과 또다른 정책 대결로 이어진 상태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람에 이어 이제서야 주민설명회가 개최된 만큼 향후 정비구역지정 신청이 접수되면 면밀한 검토에 나설 방침"이라며 "하지만 층수, 용적률, 용도변경 등의 예민한 사안은 규제 틀 밖에서 검토할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