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영화 속 원격회의가 현실이 된다…SKT, 증강현실(AR)에 통신을 더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영화 속 원격회의가 현실이 된다…SKT, 증강현실(AR)에 통신을 더했다 사진=SKT
AD



[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영화 속 원격회의가 조만간 현실이 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오는 27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017에서 신개념 통신 기술인 '텔레프레즌스(Tele-presence)'를 공개한다고 23일 밝혔다.


텔레프레즌스는 먼 거리에 떨어진 회의 참가자들이 실제 같은 방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증강현실(AR)기반의 홀로그래픽 통화 솔루션이다. 참가자들은 AR로 구현된 상대방의 아바타와 마주하며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고, 주변에 가상의 데이터도 띄울 수 있다.

텔레프레즌스 기술을 이용하면 원격 협진(Tele-medicine) 및 원격 가이드(Tele-maintenance)도 가능하다. 원격에 있는 다수의 의료진이 환자의 심장이나 뇌 등 복잡한 신체 기관의 3D 데이터를 보면서 협진을 하거나, 직접 공장에 가지 않아도 3D로 구현된 자동차의 내ㆍ외관 구조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논의를 할 수 있다.


또 SK텔레콤은 이번 MWC2017에서 AR와 가상현실(VR)을 넘나드는 혼합현실(MR) 기술도 공개한다.


AR와 VR는 모두 가상의 이미지를 활용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갖지만, AR는 현실에 가상의 이미지를 더하는 개념인 반면 VR는 100% 가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MR기술을 활용하면 다수의 사람들과 공사 현장에서 건물 외관은 AR를 통해 보고, 건물 내부는 VR를 통해 살펴보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 교육용 자료로도 활용, 교실 위에 천체를 띄우는 것을 넘어 교실을 우주 공간으로 바꿀 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2012년부터 AR 기술 연구를 진행했다. 그동안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 2015년 구글의 개발자회의 I/O에서 구글의 AR 단말기 '탱고(Tango)'를 활용한 AR 플랫폼 'T-AR'를 선보인 바 있다.

영화 속 원격회의가 현실이 된다…SKT, 증강현실(AR)에 통신을 더했다


당시 SK텔레콤은 공간을 분석하고 인식해 가상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솔루션을 시연했다. 기존의 AR가 카메라에 비춰진 이미지 기반의 평면적인 2차원 기술이었다면, SK텔레콤의 'T-AR for Tango'는 공간 인식을 통한 3차원 기술이라는 점이 특징이었다.


이어 지난해에는 VR와 AR를 통합한 플랫폼 'T리얼'을 공개했다. 'T리얼'은 SK텔레콤 서비스뿐만 아니라 외부 개발자들도 활용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SK텔레콤은 국내 ARㆍVR 생태계 확대를 위해 국내 벤처ㆍ중소기업 및 개인 개발자들과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개발자 포럼도 주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전진수 SK텔레콤 종합기술원 VE(Virtual Experienceㆍ가상 경험)테크랩 팀장은 "스타워즈에 보는 홀로그램 형태의 원탁회의처럼 원격에 있는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된다"며 "이 플랫폼이 궤도에 올라가면 B2B 비즈니스를 통해 솔루션 형태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