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재인과 호남풍②]노무현정권 때 연정론과 대북 송금 수사…'배신의 기억'이 꿈틀거린다

시계아이콘01분 2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왜 호남은 몰표로 몰아준 문재인에게 등 돌렸나 - 한나라와 손잡기, DJ치적 수사에 분노

[문재인과 호남풍②]노무현정권 때 연정론과 대북 송금 수사…'배신의 기억'이 꿈틀거린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AD


[아시아경제 박혜연 인턴기자] 호남은 왜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신뢰하지 못할까.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호남의 상징’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참여정부의 ‘배신’을 꼽는다. 참여정부에 보내준 호남의 열렬한 지지를 외면하고 영남권·보수층과의 연정을 꾀하는 모습에 실망을 느꼈다는 것이다.

◇ 참여정부가 ‘부산 정권’?


사실 노 전 대통령과 문 전 대표는 모두 부산에서 정계에 입문한 이력이 있다. 노 전 대통령은 1988년 부산 동구에서 13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문 전 대표는 2002년 16대 대선에서 노 전 대통령의 부산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으면서 정계에 발을 들여놨다.

16대 대선 당시 광주는 야권 대선 후보들의 치열한 경합장이었다. ‘리틀 김대중’으로 꼽힌 한화갑 후보와 ‘대세’ 이인제 후보 사이에서 별다른 기반이 없던 노무현 후보는 광주 경선에서 지지율 1위를 기록하는 이변을 일으키며 호남의 지지를 얻는 데 성공한다. 이어 정동영 후보와의 야권 단일화로 노 후보는 대통령까지 당선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문 전 대표는 청와대 민정수석 시절 참여정부를 두고 ‘부산 정권’이라고 언급하며 호남 민심에 상처를 입혔다. 의도가 무엇이든 노무현 정권 창출에 정치적인 기반을 제공했던 호남으로서는 허탈할 수밖에 없다.


◇ 열린우리당 분당과 ‘연정론’


호남 민심이 참여정부로부터 본격적으로 떠나기 시작한 계기는 열린우리당 분당 사태와 대북 송금 특검이었다. <아주 낯선 상식>의 저자 서남대 김욱 교수는 2016년 주간지 <시사인>과의 인터뷰에서 2006년 당시 열린우리당의 ‘연정론’이 자신을 ‘반노’로 돌아서게 만들었다고 고백했다.


그는 “민주당 부정해놓고서 한나라당과 연정하자는 건 (영남 패권주의에 대한) 완전 투항이다”고 격하게 비판했다. “선거 전에는 호남 표가 필요하니까 호남 몰표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선거가 끝나면 지역감정 타파를 외친다”는 것이다.


호남이 전통적으로 야권을 지지하는 이유는 바로 5·18 광주의 기억 때문이다. 5·18 학살의 주범과 한 뿌리인 한나라당과 연정하겠다는 열린우리당에 호남이 실망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이것을 단순히 ‘지역감정’으로 읽을 수 있을까.


◇ 대북송금 특검 사건


대북송금 특검 사건 역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생전 “이해할 수 없다”며 서운한 마음을 비칠 만큼 호남으로서는 ‘배신’이라고 읽힐 수 있을 만한 행보였다. 실제로 호남 시민들 중에서는 이 문제를 ‘반(反)문’의 원인으로 꼽는 사람이 많다.


이 약점을 집요하게 파고들며 문 전 대표에게 공세를 퍼붓는 사람이 바로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다. 지난 1월31일 박 대표는 ‘국민이 판단할 일’이라고 짤막히 언급한 문 전 대표에게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문 전 대표 측은 참여정부 당시 호남 출신이 정부 요직에 많이 기용되었다며 ‘호남 홀대론’을 강하게 부인한다. 이런 태도에 호남은 싸늘하게 반응한다. 단지 자리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 동안 호남의 경제 상황이 별로 나아지지 않았던 것도 큰 불만이다. 여러 갈래로 얽히고 설킨 호남의 ‘반문 정서’ 실타래는 쉽게 풀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박혜연 인턴기자 hypark1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