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자동차 공기압 점검은 사고 방지는 물론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공기압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예기치 못한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문제는 주기적인 관리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교체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데다 육안으로 공기압 구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공기압이 적정 수준에서 10% 떨어지면 타이어 수명은 15% 정도 줄어든다. 압력이 0.21바(barㆍ공기압 측정 단위) 낮아지면 연료도 1.5% 더 소비된다. 무엇보다 제동 성능이 저하된다. 타이어 펑크 사고로 이어지는 원인의 75%는 타이어 공기압 저하에서 비롯된다는 통계도 있다. 하지만 타이어에 구멍이 나거나 찢어지지 않은 멀쩡한 타이어도 장시간 내버려 둘 경우 자연스러운 누출로 공기압이 떨어지고 외부 온도에 따라 공기압이 변하기도 한다. 특히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그 누수량이 더욱 많아진다.
의외로 운전자가 직접 확인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일반적으로 운전석 도어 내부나 보조석 앞 글로브박스 또는 차량 매뉴얼을 확인하면 자신의 자동차에 맞는 적정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가 스스로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인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타이어 공기압 측정장치)도 도움을 준다. 타이어 휠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과 온도를 감지한 뒤, 이 정보를 운전석으로 보내 실시간으로 타이어의 압력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반도체 전용 칩으로 구성된 센서는 정확한 압력 측정이 가능하다. 일부 제품은 룸미러에 경고등이 있는 경우도 있고 경보음을 함께 내주는 제품도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타이어의 내구성ㆍ승차감ㆍ제동력 향상은 물론 연비도 높일 수 있고 주행 중 차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최근 TPMS는 의무 적용되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의무화된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도로안전교통국(NHTSA)은 2007년 9월 1일 이후 판매되는 모든 차에 TPMS 장착을 의무화했다. 이후 EU도 2012년부터 TPMS 장착을 의무 적용, 사고율을 낮추는 것 이외에도 환경 보호에도 효과를 봤다. 우리나라 역시 2013년 1월부터 판매되는 신차 모델 중 승용차, 3.5톤 이하 승합ㆍ화물ㆍ특수 자동차는 TPMS 장착이 의무화됐다. 2015년 1월 이후 출고되는 모든 새 차들은 TPMS 장착이 의무다. 2011년에는 100% 외산에 의존한 TPMS를 국산화에도 성공했다. 국산품은 센서 전력 사용량이 기존 제품보다 30% 가량 적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