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부채보유자 원리금상환액
가처분소득의 30% 넘어, 6년새 최고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주택대출 등 빚을 지고 있는 사람은 소득의 3분의 1을 부채를 갚는 데 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 하위 20%는 소득의 절반 이상을 채무상환에 써 향후 대출금리 상승 시 경제 전체에 먹구름을 드리울 전망이다.
19일 통계청 소득 5분위별 가계재무건전성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부채 보유자의 원리금상환액이 가처분소득의 30%를 넘어서 통계 작성 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0년 23.9%였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12년에 22.3%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3년 내리 상승하며 작년에 30.1%로 늘어났다.
부채 보유자는 평균 9614만원의 부채를 지고 있는데 2010년 7722만원보다 1892만원, 24.5%나 증가했다. 이 가운데 70%에 달하는 6720만원이 금융부채였다.
다만 2010년 3464만원이던 부채 보유자의 가처분소득은 지난해 4511만원으로 1047만원, 30.2% 오르면서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은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지난해 원리금으로 1359만원을 상환했는데, 2010년 826만원보다 무려 64.5%나 급증했다.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배 이상으로, 소득증가분 외에도 씀씀이를 줄여서 대출을 갚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소득의 대부분을 빚을 갚는 데 쓰고 있다. 소득 5분위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황액 비율은 26.2%이며 4분위는 30.6%인 데 반해 3분위는 32.5%, 2분위 42.9%로 늘어난다. 소득 1분위는 55.8%에 달해 빚 상환에 소득 절반 이상을 쓰고 있다.
또 서민층을 중심으로 자산에 비해 부채 증가속도가 가팔라 상대적으로 위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부채 보유자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평균 22.8%인데, 소득 2분위는 25.0%로 전체 소득분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소득 4분위는 23.8%, 3분위 22.8%를 기록했다. 1분위와 5분위는 21.9%로 같았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 '소득분위별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자료를 분석한 것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지난 3년간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평균 처분가능소득 증가분은 448만원으로 이 가운데 79.4%인 356만원을 대출 원리금을 상환하는 데 사용했다. 소득 1분위는 처분가능소득이 79만원 늘었지만 원리금상환액은 83만원 증가해 소득 증가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정부가 경기부양을 이유로 방치했던 가계부채가 미국 금리 인상이 다가오면서 한국경제의 뇌관이 됐다”며 “한계가구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