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파트 청약 경쟁률 상위 휩쓴 부산도 '양극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7초

부산 전년동기 대비 미분양 30% 증가
불황 속 나홀로 호황…양극화 전국적 현상

아파트 청약 경쟁률 상위 휩쓴 부산도 '양극화' ▲ 올해 수 백 대 일의 청약경쟁률 신기록을 갈아치운 부산 부동산 시장도 지역별로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수영구나 해운대같은 경우엔 당첨되면 일단 투자금의 200%는 기본으로 떨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더. 이렇다보니 너도나도 다 청약 넣어서 부산에서 아파트 분양받는게 로또 당첨보다 더 힘들다는 얘기도 나오지예" (부산 수영구 민락동 B공인중개업소 대표)

이러한 부산 부동산시장의 상황을 입증하기라도 하듯 지난달 GS건설이 부산 동래구에 분양한 '명륜자이'는 523.6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346가구 모집에 2만6683명이 몰린 것. 명륜자이로 또 한 번 최고경쟁률을 갈아치웠다. 해운대 '마린시티자이'역시 평균 450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9월 전국 평균 청약경쟁률 23.02대 1보다 10배가 넘는 수치다. 하지만 미분양주택현황도 지난 8월 기준 136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부산지역 부동산 역시 서울의 강남과 비강남권처럼 양극화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부산지역이 청약경쟁률이 고공행진 하는 데는 저금리가 장기화하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여윳돈이 몰려들었다는 분석이다. 부산의 경우 전매제한이 없고 공급 물량도 많지 않아 바다와 인접하거나 교통 여건이 뛰어난 신규 분양 단지에 수 만 개의 청약통장이 몰리고 있다.

부산의 경우 분양권 거래량 역시 활발하다. 올 상반기 전국에서 거래된 분양권은 59만8891건으로 금액으로 따지면 182조5359억 원에 달한다. 이중 부산의 분양권 거래량은 9만6292건(31조4283억원)에 달했다.


연일 청약경쟁률을 갈아치우는 부산이지만 이는 부산에서도 일부지역에 국한된 얘기다. 부산지역 미분양주택현황은 8월 기준 136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지역 내에서도 미분양가구가 많은 상위 지역은 사하구(346가구), 동구(300가구), 강서구(148가구)로 입지가 좋지 않은 곳에 몰려있었다. 미분양 물량이 제로인 수영구와 대조적이다. 부산 부동산시장이 서울의 강남과 비강남권처럼 양극화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는 부산과 같은 지역 내에서 뿐 아니라 전국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경우 수 백 대 일의 경쟁률을 거뜬히 뛰어넘는 반면 대구와 같은 일부 지방 부동산 시장에서는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5일 청약을 진행한 서초구의 '아크로리버뷰'는 평균 306대 1, 최고 경쟁률은 488대 1을 기록하며 시장을 또 한번 놀라게 했다. 반면 충북 진천에서 분양한 270가구 규모의 한 아파트에는 1순위 청약에서 단 한 명도 접수하지 않았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미분양이 우려되는 청주, 제천을 비롯한 전국 24개 지역을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규제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따른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올 들어 부산지역 평균 매매가가 7% 상승했다"며 "이 중에서도 해운대 13%, 수영 11%, 연제 9% 등 일부 상승세를 주도하는 지역이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부산 부동산시장의 과열이 부산 전 지역으로 퍼지고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함 센터장은 "경상도에서는 대구 부동산시장이 상황이 좋지 않자 이 지역 투자자금이 모두 부산으로 몰리고 있는 셈"이라며 "청약 1순위 조건 강화나 재당첨금지조항 등의 규제는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반면 규제가 오히려 부작용을 심화시킨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부동산학)는 "2000년대 투기과열지구 지정한 곳을 보면 이듬해에 10% 이상 집값이 급등하는 등 오히려 부작용이 컸는데, 지금은 그 때와 달리 지방 부동산 시장까지 침체해 정부의 고민이 깊은 것"이라며 "섣부른 규제 강화로 시장을 얼어붙게 만들기보다 불법 전매 등 단속을 강화하고 시장 논리에 따라 규제를 합리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