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1년 前 9월은 유력 대선주자에 현역 의원들이 줄서는 시기
올해는 '반기문 돌풍'에 계파 개편 실종…潘총장은 뉴욕에
친박은 청와대 눈치만, 쉽게 움직이지 않아
"친박당이 여태 朴心에 기대고 있다"는 지적도
김무성 등 국내 주자들은 장외 활동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선택지가 너무 없다." 여당의 한 중진 의원은 푸념부터 늘어놨다. 통상 이맘때쯤이면 당 안팎에선 유력 대선주자를 중심으로 현역 의원들의 이합집산에 속도가 붙는데, "요즘은 조용해도 너무 조용하다"는 설명이었다.
'대선시계'는 빠르게 돌아가고 있지만, 정작 당내 분위기는 대선을 언급할 상황도 아니다. 오히려 "함부로 줄을 서지 말라"는 충고가 비등하다. 이 중진 의원은 "여야 대치 국면도 그렇지만 여당이 너무 박근혜 대통령만 바라보는 것도 문제"라고 꼬집었다.
당을 장악한 친박(친박근혜)이 초ㆍ재선 의원을 중심으로 세력을 키우면서 '단일 대오'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지난 8ㆍ9 전당대회는 이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지난 28일 이정현 대표가 제안한 국정감사 복귀 카드를 뒤집은 것도 초ㆍ재선 친박들이었다.
29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대선을 불과 1년여 앞둔 새누리당의 세력 지형도가 여태껏 백지에 머물고 있다. 여야 대치 국면이 길어지면서 대선 이슈가 사라졌고, 출마를 암시한 여권의 군소후보들이 난립하면서 아직까지 수싸움만 치열하게 벌어지는 모습이다.
반면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은 아직 뉴욕에 머무르고 있다. 다른 잠룡들의 지지율은 한 자릿수에 그치는 상황이다. 간접적으로 출사표를 던진 주자들은 민생탐방과 강연으로 끊임없이 화두를 던지지만 원내 의원들은 좀처럼 눈길조차 주지 않는다.
여권 관계자는 "이쯤되면 다양한 색깔을 지닌 주자들이 정책을 검증받고, 연대를 통해 정권 재창출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친박조차 반 총장의 귀국을 기다리며 노골적 지지를 자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당의 지난 대선 분위기는 달랐다. 실제로 18대 대선을 앞둔 2011년에는 가을부터 당시 박근혜 후보가 여권 후보로 독점적 지위를 누렸다. '박근혜 대세론'이 불면서 이를 거스를 현역 의원들은 거의 없었다. 대선 캠프는 친박을 자처하는 의원들로 봇물을 이뤘고, 일부 친이(친이명박) 의원들이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대항마로 모색했으나 한계를 드러냈다.
17대 대선 전년인 2006년에도 당시 박근혜 후보가 1위 주자였다. 박 후보가 대표직을 그만두고 대선 15개월 전 여의도의 한 빌딩에 캠프를 꾸리자 당 중역들이 몰려왔다. 최경환ㆍ김무성ㆍ김재원ㆍ이혜훈 의원 등이다.
반면 서울시장을 관두고 안국포럼을 꾸린 당시 이명박 후보 측의 현역 의원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이 같은 편향된 세력지도는 그해 10월 북핵실험으로 '강경노선'의 이 후보 지지율이 급등하면서 반전됐다.
여권의 대선판이 너무 조용한 데는 여소야대라는 정치상황과 극명한 여야 대치 상황이 일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16년 만에 거야(巨野) 국회에서 여당은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추경안 처리는 물론 정세균 국회의장의 20대 첫 정기국회 개회사를 놓고 공전을 빚은 뒤 다시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야당 단독처리를 놓고 의사일정을 전면 거부 중이다.
20대 국회가 대선 20개월 전에 꾸려졌다는 특수성도 한 요인이다. 원이 구성되면서 여야가 세력균형을 타진하는 시기라, 대선판에 관심을 기울일 여지가 없다는 설명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선판은 장외에서 더 가시화되고 있다. 반 총장은 대선 출마 시기조차 가늠할 수 없는 가운데 '반딧불이' 등 자발적 지지모임이 속속 꾸려지고 있다. 6선의 김무성 전 대표는 측근 현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정치력을 회복하고 있다. 다만 예전에는 '김무성맨'을 자처하던 의원들도 지금은 대다수가 침묵 중이다.
대구ㆍ경북(TK) 출신으로 개혁성향인 유승민 의원은 강연을 통해 공감대를 확산하고 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수도권의 중도ㆍ개혁성향 의원들로부터 암묵적 지지를 끌어내려 노력한다. 반면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김문수 전 경기지사는 측근들이 대거 지난 총선에서 탈락하며 다소 힘이 빠진 상태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