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추가지원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 vs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는데 안타깝다"(8월 30일)
"그룹과 대주주가 사회적 책임지고 해결하라"vs "여력이 없지만 최대한 노력하겠다"(9월 5일)
"담보를 제공하면 1천억 이상 장기저리로 지원" vs "그룹차원서 검토"(9월 6일)
한진해운이 채권단으로부터 추가지원 결정 불가 통보를 받고 법정관리를 신청하기 전과 법정관리 이후 양측간에 벌어지고 있는 핑퐁게임이다. 달라진게 있다면 일주일전에는 한진해운을 살리기 위한 자구안에 대한 시각차이고 지금은 한진해운발(發)사태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금수혈안에 대한 입장차다. 여기에 6일에는 당정이 한진그룹의 담보제공을 조건부로 한진해운에 장기저리 자금을 지원하겠다는 조건부 지원 카드를 내걸었다. 한진그룹은 다시 검토에 들어가면서 양자간의 핑퐁게임이 삼자간의 게임으로 확전됐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지난달 30일 한진해운이 낸 추가자구안에 대해 실효성이 적고 추가지원을 해주면 해외채권자에만 도움된다면서 추가지원불가 결정을 내렸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추가지원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고 했다. 한진그룹은 채권단의 통보를 받은 직후 "최선을 다해 추가 자구안을 마련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안타깝다"면서 다음날 법원에 한진해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6일로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7일째를 맞아 한진발 대란이 일파만파 커지자 금융당국은 한진그룹에 책임론을 꺼내든다. 금융당국 수장인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안전하게 화물을 운송할 책임은 당연히 한진해운에 있고 여전히 한진해운은 한진그룹의 계열사"라고 지적하면서 "한진그룹과 대주주들이 사회적 책임을 지고 물류 혼란 사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했다.
여기에 당정이 6일 한진그룹 담보제공을 전데로 한진해운에 장기저리로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지원키로 한 것에 대해 한진그룹은 심사숙고하고 있다. 한진그룹 관계자는 "당정이 이날 한진해운에 대한 저리 지원과 함께 고용위기 지역 지정 등의 대책을 내놓기로 한 것에 대해 그룹 차원에 검토하고 있다"며 "조만간 입장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진그룹은 이날 채권단과 논의를 거쳐 긴급 자금수혈안을 협의해 발표할 예정이다. 양측간의 조율을 통해 실효성있는 수혈안이 나올 경우 한진해운이 미국과 일본 등지에서 제기한 파산보호 신청과 맞물려 최악으로 치닫고 있던 물류사태는 한고비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의 압박과 정치권, 여론의 거센 비판에 직면한 한진그룹은 결국 퇴짜맞은 추가 자구안을 토대로 법정관리 계열사에 지원하는 방안을 채권단과 협의하고 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법정관리 신청 직전인 지난달 30일 "어떤 상황이 닥친다 해도 그룹 차원에서 회사(한진해운)와 해운산업 재활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경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양측간, 삼자간의 대화의 시계는 일주일전으로 돌아갔지만 그 사이 한진해운에 선박을 빌려준 선사와 수출입 화물을 실은 화주, 선원, 항만물류서비스업계는 법정관리의 거센 후폭풍에 휩싸였다. 채권단과 한진그룹이 추가자구안에서 이견을 보인 금액은 3000억원이었다.
3000억원의 차이로 발생한 법정관리 후폭풍은 이미 수 배, 수 십배의 피해가 되고 있다. 한진해운 소속 선박(141척)의 70%인 97척이 정상운항하지 못하고 있다. 외국 현지에서는 항만 당국이 입ㆍ출항을 금지하거나 하역 관련 업체들이 밀린 대금을 지급하라는 등의 이유로 작업을 거부하고 있다.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사태를 피하기 위한 양측간의 대화가 이제는 법정관리 이후의 피해를 최소화기 위한 쪽으로 달라진 상황을 두고 해운업계에서는 기업의 무책임과 당국의 무능력이 빚어낸
참극이라고 비판한다.
다만 당정이 한진해운에 1000억원 이상의 장기저리자금을 지원키로하고 채권단과 한진그룹이 1000억원∼2000억원 규모의 긴급자금 수혈안을 논의해 발표할 경우 물류대란은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한진해운이 미국과 일본 등 43개국 법원에 낸 파산보호시청과 압류금지가 받아들여지면 선박압류와 억류도 풀리면서 한진발 대란의 새로운 국면을 맞게될 전망이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