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노태영 기자]일본군 위안부 재단에 조만간 일본 측의 10억엔 출연이 이뤄질 전망이다. 하지만 여전히 피해자들의 반발과 일본 측의 역사 왜곡 문제 등은 원만한 합의 이행을 하는데 넘어야 할 큰 숙제다.
지난 주 17일 위안부 피해자를 비롯해 관련 시민단체와 학생 등 경찰 추산 400명이 참석한 가운데 1244차 정기 수요집회가 어김없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피해 할머니들은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인근에서 여전히 정부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90) 할머니는 "이렇게 (위안부) 할머니들을 괴롭힌 정부가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할머니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한일조약 때 위안부 문제를 해결 지었으면 우리가 지금 이렇게 고생하지 않아도 된다"며 "과거 대통령들은 아무 일도 안 했을 뿐이지 이렇게 할머니들을 괴롭히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작년 12월 28일 한일 합의가 돈을 받고 할머니들을 팔아넘긴 것밖에 안 된다고도 했다. 다른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88) 할머니는 정부가 하지 말아야 할 한일합의는 하고 해야 할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는 하지 않는다며 정부가 거꾸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법적 대응도 진행 중이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29명과 사망한 할머니 8명의 유족을 대리해 위안부 합의에 대한 헌법소원까지 제기했다. 시민단체들은 한일 양국의 합의와 재단 출범에 맞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별도의 '정의기억재단'을 출범시켰다. 또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ㆍ이옥선ㆍ박옥선 할머니 등은 최근 대통령 소속 '위안부 피해자 생활 안정 지원 및 기념사업 심의위원회' 설치를 비롯해 위안부 피해자의 장례비 및 추모시설 설치 비용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 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처럼 '피해자 vs 정부'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가운데 일본 내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위안부 관련 '역사왜곡'도 문제다. 일본 외무성은 지난 3월 홈페이지에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정하는 정부 당국자의 유엔 발언 내용을 일본어로 올린 데 이어 최근에는 영문 홈페이지에도 같은 내용을 게시한 것으로 지난 20일 파악됐다.
한 마디로 '강제성'은 없었다는 취지다. '여성차별철폐조약 7, 8회 정부보고 심사 중 스기먀아 심의관 발언 개요'라는 제목의 글은 "일본 정부는 한일간에 위안부 문제가 제기된 1990년대 초 이후 이에 대한 본격적인 사실 조사를 했지만, 정부가 발견한 자료 가운데는 군이나 관헌에 의한 '강제연행'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위안부 강제연행이라는 견해가 확산한 것은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ㆍ사망)씨가 '나의 전쟁 범죄'라는 책에서 '일본군의 명령으로 제주도에서 많은 여성을 끌고갔다'는 허위사실을 날조해 발표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편 지지부진 한 합의 이행 과정에서 피해 생존자들은 세상을 떠나고 있다.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40명(국내 38명, 국외 2명)뿐이다. 나눔의 집에는 이옥선(89) 할머니를 비롯해 10명이 거주하고 있다.
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