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휴일 요일제 카드로 경기활성화 총력
"소비진작 효과" "과대평가 안돼" 이견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중후장대 산업 구조조정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등 대내외 악재로 하반기 경기 둔화가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 심리 역시 여전히 개선되기 힘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해 20조원 이상의 재정을 더 풀고 일부 법정 공휴일을 '요일제'로 전환하는 등 정부가 내놓은 경제정책이 소비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엇갈린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28일 발표한 '2016년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느끼는 현재의 경기상황과 앞으로의 경기 전망이 2개월째 악화돼 넉 달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현재경기판단 지수는 68, 6개월 뒤의 경기 전망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향후경기전망 지수는 78로 각각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했다.
실제 2014년 세월호,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등 악재로 인한 실적기저에도 불구하고, 소비심리 악화로 유통업계 실적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지난 5월 한 달 기준 이마트의 매출액은 9384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2% 줄었고, 같은 기간 신세계의 매출은 3689억원으로 4.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비자 씀씀이도 줄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국내 백화점의 객단가는 7만4262원으로 전년 동기 실적(7만8077원)에 못 미쳤다. 대형마트 역시 4만667원으로 지난해(4만1310원) 객단가를 밑돈다.
그러나 같은날 정부가 발표한 경기부양책이 소비심리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이날 정부는 20조원의 재정 보강책과 함께 노후 경유차 교체를 지원하고 일부 법정 공휴일을 현행 '날짜지정' 방식에서 '요일지정' 식으로 바꾸는 방안을 내놨다. 이 경우 자연스레 주말과 이어지는 황금연휴가 조성돼 소비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박정우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작년에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국내 내수부진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휴일을 늘려줘야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됐다"면서 "따라서 올해 하반기부터 대체휴일제 등을 통해 휴일이 많아진다면 내수 경기가 최악으로 떨어지는 것은 어느정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지나친 기대는 말아야 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임시공휴일 지정 당시 전년 대비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처럼 집계됐지만, 휴일이 아니었던 시기와 비교돼 나타난 숫자에 불과하다"면서 "비슷한 시기의 휴일과 비교하면 백화점이 10%대, 대형마트는 그 이하의 증가율을 보였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조 연구원은 "그 효과를 과대평가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면서 "다만, 우리 경제에서 수출 주력 산업이 현재 어려운 상황이므로, 서비스업의 비중을 늘리는 측면에서는 심리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당장 매출이 급증하는 등의 수치적 변화보다는 전반적인 국민의 여가, 문화 관련 소비의 트렌드를 변화시키는 측면에서는 봐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