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 인력, 해외 계약직으로 몰려
해외 취업 돕는 아웃소싱업체 지원자 3배 급증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구조조정 압박에 실직 불안감이 커지면서 조선 인력들이 하나둘 해외 기업으로 이직하고 있다. 과거 조선업 호황기에는 '스카우트' 형식으로 인력 이탈이 이뤄졌다면 지금은 '생계형 이직'에 가깝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해외 취업을 돕는 아웃소싱업체에 문을 두드리는 조선사 직원들이 부쩍 늘었다.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소 직원들이 문의하는 일도 늘고 있다. 일본 조선소 취업을 알선하는 제니엘 담당자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한 달에 6~7명 정도였던 문의전화가 이젠 20명도 넘는다"며 "일본어를 못하는데 일할 방법이 없겠냐는 질문이 가장 많다"고 말했다.
지원하는 사람도 지난해 말 대비 2~3배 늘었다. 이 업체에서 2014년 10월 이후 현재까지 취업이 성사된 건은 총 10여건. 이 중 절반 이상이 최근 3개월 사이 이뤄졌다. 다른 아웃소싱업체까지 고려하면 꽤 많은 인력이 해외로 이직하고 있는 것이다. 제니엘 담당자는 "올해 2월까지만 해도 4명 정도였는데 지원자가 늘면서 취업자수도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로 이직하는 이들은 성동조선해양·STX조선해양 등 국내 중소형 조선소에서 5~10년 가량 일한 일반 상선분야 설계 인력들이다. 사내 협력사 직원들도 많았다. 대부분 최소 13개월에서 최대 4년 동안 계약직 신분으로 일한다. 업계 관계자는 "생계 유지차원에서 해외로 가지만 국내 조선사 사정이 좋아지면 언제든 다시 돌아오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며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구조조정 광풍에 실직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업계선 협력사 포함 내년 최대 6만명 수준의 대량 실업을 예상한다. 업계 관계자는 "실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황이 다시 살아날 경우를 대비해 경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와 조선사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실직 후 재취업 기간을 줄이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도 대책 중 하나로 실직자들의 교육연수나 해외취업 지원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급휴직을 활용해 구직준비 시기를 줄이자는 아이디어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핵심 기술을 다루는 직군은 구조조정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핵심 인력 유출을 최대한 막되, 실직이 우려되는 사람들은 시황이 나아질 때까지 이런식으로라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