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왕대비에게 붙여주던 존댓말이, '자자, 마 누우라'(경상도 버전)로 전락?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AD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카드뉴스]마누라는,'마느님'만큼 극존칭이었다



마누라를 마누라라 부르면 싫어하는 마누라가 많다. 함부로 부르는 호칭인 것 같아서 그럴 것이다. 혹자는 이 말이 경상도의 어느 집안에서 신혼 첫날밤에 신부가 도무지 잘 생각을 하지 않자 "마, 누우라"라고 했던데서 나왔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마누라라는 말은 15세기 세종 때 만든 삼강행실도에 마노라라는 말로 등장한다. 마노라는 마마라는 말과 함께 윗사람에 대한 존칭이거나 극존칭이었다. 처음에 등장할 때는 남녀 구별이 없이 사용하는 호칭이었다. 상감마마 왕비마마 하듯이 선왕마노라 대비마노라란 말로 썼다. 이것이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아내를 호칭하는 말로 쓰이게 된다.


하춘화와 고봉산이 불렀던 옛노래 중에 '잘했군 잘했어'라는 것이 있는데, 노랫말이 부부의 대화형식으로 되어 있는 노래이다. 아내는 남편에게 "영감"이라고 부르고 남편은 아내에게 "마누라"라고 부르며 시작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마누라라는 말이 영감이라는 말과 세트로 쓰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영감(令監)은 조선시대 고관의 별칭이다. 대감(장관급인 판서)보다는 낮지만 종2품 정3품의 당상관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영감도 지내지 않은 남편을 영감으로 불러주는 것이, 그의 격을 높여주는 호칭이었듯이 대비마노라도 아닌 아내에게 마누라라고 불러주는 것 또한 그 격을 높여주려는 배려가 아니었을까 싶다. 영감과 마누라는 서로의 지위를 슬쩍 인플레시키며 존경과 사랑의 염(念)을 건네던 센스있는 호칭이었던 셈이다. 그런데, 요즘 들어 영감이나 마누라나 모두 욕과 비슷한 표현이 되어버렸으니, 그건 호칭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들어있어야 할 존경의 염이 쏙 빠져버린 까닭이 아닐까 싶다.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