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양적완화'에 민심은 질적악화?, 빅데이터 "65%가 부정적"

시계아이콘01분 4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한달간 SNS 분석해보니…안철수 '대통령은 잘 모를 것' 발언에 여론 시끌

'양적완화'에 민심은 질적악화?, 빅데이터 "65%가 부정적"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AD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한국형 양적완화'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견해를 밝히면서 여론이 요동치고 있다. 양적완화는 한 달 전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이던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이 공약으로 꺼내들면서 논쟁거리가 됐지만 새누리당의 4·13 총선 패배 이후 수면 밑으로 가라앉은 상태였다. 하지만 대통령의 발언 이후 논란은 재점화 됐고 이와 관련한 설왕설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양적완화는 기준금리 인하나 정부 재정 투입을 하지 않고 중앙은행의 채권 매입 등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금리 인하 등으로는 더 이상 유동성을 확대하기 어려울 때 사용된다. 친숙하지 않지만 국민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강 전 장관이 말을 꺼낸 지난달 29일부터 대통령의 발언이 전해지며 관련 논의가 급증한 28일까지 이에 대한 여론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8일 아시아경제가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펄스K를 통해 '양적완화', '한국형 양적완화' 등의 키워드를 포함한 지난달 29일부터 이날(오전 10시 30분 기준)까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언급을 조사한 결과 총 1만348건이 있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박 대통령이 26일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간담회에서 한국형 양적완화 긍정 검토 발언을 한 것이 전해진 27일 2519건으로 가장 많았다. 강 전 장관이 양적완화 공약을 발표한 다음 날인 지난달 30일에도 863건이 있었다.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뭔지 모를 것 같다"고 대통령을 슬쩍 무시할 정도로 양적완화는 바로 와 닿는 개념은 아니지만 SNS에서는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강 전 장관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려도 돈이 제대로 흐르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한은이 산업은행 금융채권(산금채)과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증권(MBS)을 인수하는 통화 완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한 달 뒤 대통령은 이에 대해 "이건 한번 우리가 긍정적으로 검토를 해야 된다"며 "그런 방향으로 추진이 되도록 힘을 쓰겠다"고 했다. 하지만 이 한 달 동안 SNS에 등록된 양적완화에 대한 의견들을 살펴보면 부정적인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같은 기간 양적완화 등에 대해 긍정과 부정을 판별할 수 있는 SNS 상의 언급 7330건을 분석해보니 부정적인 내용이 4747건으로 64.8%를 기록한 것이다. 부정적인 언급에 함께 포함되는 키워드들은 '불안', '위험', '우려', '실패', '부담', '비판' 등이었다. 긍정적인 내용은 1582건, 21.6%에 그쳤고 중립적인 내용은 1001건, 13.6%였다.


이 같은 여론의 추이는 한국형 양적완화 추진을 위해서는 여소야대 국면에서 한국은행법을 개정해야 하는 새누리당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새누리당이 구상하는 양적완화를 위해서는 한은이 정부 보증채만 살 수 있도록 돼 있는 현행 한은법을 개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은 한은이 매입할 수 있는 채권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의 한은법 개정안을 발의한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더 나가 한은이 산은에 직접 출자하는 내용을 넣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야권의 반대에 여론까지 돌아서면 되레 양적완화 추진이 총선 결과가 보여준 민심을 제대로 읽지 않는다는 역풍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당장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이 양적완화 긍정 검토를 말한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오찬 간담회에 대해 "4·13 총선 민의는 국정 전반에 대한 평가와 심판이었지만 대화 과정 어디에서도 총선 민의를 제대로 반영한 흔적을 찾아볼 수 없었다"고 지적하며 "불통의 리더십을 고수하겠다는 대통령의 고집을 그대로 보여준 것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