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시생 도주 우려 '구속'…외양간 고치는 정부청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공시생 도주 우려 '구속'…외양간 고치는 정부청사 ▲정부서울청사 출입 보안이 강화되면서 7일 오전 공무원들이 후문 외곽에서부터 안내실 출입통제 시스템을 통과하고자 줄지어 서 있다. 이전에는 경비들이 눈으로 공무원 신분증을 확인한 뒤 옆 철문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 (출처=연합뉴스)
AD


-지하1층 잠정 폐쇄·체력단련실 사물함 잠금장치 등 보안·교차점검 강화
-공시생 도주 우려 구속…경찰, 내무 조력자 있는지 CCTV 영상 등 조사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이현주 기자] 정부서울청사에 무단 침입한 공무원 시험 응시생 송모(26)씨의 행적이 하나 둘 드러나고 있다. 방호원과 이중 출입 통제 시스템을 갖춘 정부청사의 보안이 뚫린 상황에서 민간 건물에 입주한 일부 기관의 보안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정부서울청사를 무단으로 드나들며 자신의 성적을 조작한 혐의로 공무원 시험 응시생 송모(26)씨를 6일 구속 수감했다. 서울중앙지법 성창호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송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서 "범죄사실이 소명됐고 도주 우려가 있다"며 경찰이 신청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경찰에 따르면 송씨는 지난달 26일 오후9시5분께 정부서울청사 16층 인사혁신처 채용관리과 사무실에 몰래 들어가 시험 담당자 컴퓨터에 접속, 자신의 필기시험 성적을 조작하고 합격자 명단에 본인의 이름을 넣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인사처 등에 따르면 송씨는 사건 이틀 전인 3월24일 밤에도 채용관리과 사무실에 들어가 시험 담당자 컴퓨터에 접속하는 등 모두 5차례 청사에 무단 침입했다. 송씨는 자신의 성적을 45점에서 75점으로 30점 올린 뒤 합격자 명단에 자신의 이름을 추가했다. 명단 조작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확인한 뒤엔 관련 문서를 파쇄했다.


경찰은 송씨가 신분증을 훔치러 최초로 청사에 들어가고, 범행 당일 디지털 도어록이 달린 채용관리과 사무실 문을 여는 등의 과정에 내부자의 도움이 있었을지 모른다고 보고 폐쇄회로TV(CCTV) 영상 및 관계자 소환 조사 등을 통해 사건 경위를 확인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송씨는 "청사 1층 체력단련장 탈의실에서 훔친 공무원 신분증 3개를 이용해 청사를 출입했고, 청사 내 사무실들 문 옆에 도어록 비밀번호가 적혀 있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컴퓨터 접속은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 낸 비밀번호 해제법을 토대로 관련 프로그램을 구해 범행에 썼다고 말했다. 황서종 인사혁신처 차장은 "내부 조력자가 있을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면서도 "기술적ㆍ물리적 보안 강화 조치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청사는 송씨 사고 발생 이후 체력단련실 사물함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지하 1층 통로를 잠정 폐쇄 조치했다. 조소연 서울청사관리소장은 "보안 강화 및 자체 점검을 위해 청사 간 교차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청사의 허술한 방호가 비판을 받는 가운데 청사 밖 민간 건물에 입주한 일부 기관의 보안은 더욱 취약하다. 일례로 안전점검과, 방호조사과 등 국민안전처 직원 400여명은 청사 밖 건너 빌딩에 입주해 있다. 민간 건물이고 다른 업체들도 많아 정부청사 수준의 방호를 적용할 수 없다.


민간 건물을 빌려 쓰는 부처는 스스로 방호 책임을 진다. 안전처의 경우 과별로 지문인식시스템을 장착하고, 외부인이 출입할 경우 유선 연락을 거쳐야 사무실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안전처 관계자는 "조만간 이전하게 될 세종시에서도 일부 민간 건물을 임대하는데 이번 사고가 있어 보안 시스템을 더 철저하게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준영 기자 foxfury@asiae.co.kr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