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역대 선거들이 매번 그랬지만 특히나 이번 4·13 총선은 투표율이 중요한 변수로 꼽히고 있다. 국회의원 선거로는 사상 처음으로 사전투표제가 도입된 만큼 전체 투표율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전투표제는 일반적으로 젊은 층의 투표율을 끌어올리는 것으로 예상돼 야권에 유리하다는 분석이 있다. 박빙승부처가 많은 이번 총선에서 야당 지도부가 사전투표를 독려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사전투표에서 이긴 후보가 당선될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2014년 6·4지방선거에서 기초단체 222곳 중 무투표 당선지역을 제외한 202곳(90.9%)에서 사전투표 승자가 당선된 바 있다. 여권 입장에서도 사전투표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사전투표제는 어느 정당, 어느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지를 떠나 '참정권 확대'라는 효과면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다. 중앙선관위도 선거 날이 임시 공휴일인 탓에 투표소를 찾지 않는 유권자들이 많은데 사전투표제가 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사전투표제가 처음 도입된 2013년 4·24 재보궐 선거(4.9%)에 이어 2014년 6.4 지방선거에는 11.5%로 상승했다. 이번 총선의 사전투표율은 14%대로 더 늘어날 것으로 중앙선관위는 예상하고 있다.
그런데 사전투표제, 부재자투표제 등 참정권 보장을 위한 제도에도 불구 매년 투표율 꼴찌를 벗어나지 못한 지역이 있다. 인천은 역대 총 6차례 지방선거 가운데 5회 때 13위, 6회 때 15위를 제외하고 1~4회 때 모두 투표율이 전국 꼴찌였다. 3회 지방선거 땐 투표율이 역대 최하위인 39.3%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선거 때도 투표율 74%로 전국 14위,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51.4%로 전국 꼴찌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인천의 투표율이 낮은 데는 서울, 경기도 등지로 출퇴근하는 직장인 등 유동인구와 중소업체·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지역적 특성이 주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정치학자들은 이러한 지역적 특성 외에도 인천지역 유권자들에겐 오랜 기간 선거에 관심이 없었거나 투표를 한 적이 없는 등의 '습관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쉽게 말해 선거에 무관심한 유권자가 많다는 얘기다. 이번 4·13 총선 역시 정책선거가 실종되고 여야 할 것 없이 공천잡음이 심한 탓에 선거에 염증을 내는 유권자들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투표하면 희망, 기권하면 절망". 인천 청라국제도시의 주민단체가 스스로 내건 현수막이다. '7호선 연장' 등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선 적극적인 투표를 통해 정치인들에게 주민의 뜻을 전달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청라 곳곳에 현수막 30개를 내걸었다.
청라주민들의 캠페인이 인천 전역으로 번져 또다시 전국 투표율 꼴찌라는 오명을 이어가지 않기를 기대해본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