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대장암을 이기는 식생활 및 건강수칙’ 10가지. 출처=대한암예방학회·제공=대전선병원";$txt="‘대장암을 이기는 식생활 및 건강수칙’ 10가지. 출처=대한암예방학회·제공=대전선병원";$size="550,427,0";$no="2016031316284567359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대장암은 우리나라에서 발병률(암 질환 기준)이 세 번째로 높은 질환으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 연구소(IARC)는 국내 인구 10만명당 45명 꼴로 대장암을 앓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1위) 발병 수치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대장암 발병률이 높아진 것은 채식 위주의 식단에서 육식 위주로 바뀐 점과 생활양식이 서구화 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한암예방학회는 ‘대장암을 이기는 식생활 및 건강수칙’ 열가지를 발표, 대장암에 대한 경각심과 예방을 강조하고 있다.
유성선병원 암센터 대장항문외과 최병민 과장의 도움말로 대장암의 특징과 치료방법 및 치료 후 관리법 등에 대해 알아본다.
$pos="L";$title="유성선병원 암센터 최병민 대장항문외과장. 대전선병원 제공";$txt="유성선병원 암센터 최병민 대장항문외과장. 대전선병원 제공
";$size="150,196,0";$no="2016031316284567359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초기 증상 ‘無’, 정기적 검진 필수
대장(큰창자)은 소장(작은창자)의 끝에서 항문을 연결하는 1.5m 길이의 소화기관으로 소장(6m)보다 길이는 짧지만 폭이 넓어 대장이라 불린다.
대장암은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암을 일컬으며 주된 증장은 배변 습관의 변화, 설사, 변비, 배변 후 변이 남은 듯 무지근한 느낌, 혈변 또는 끈적한 점액변, 복통, 복부 팽만, 피로감, 식욕부진, 소화불량, 복부에 혹이 만져지는 경우 등이 꼽힌다.
대장암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 증상을 느끼지 못하고 증상이 나타날 때는 병이 이미 상당히 진행돼 있을 경우가 많아 정기적 검진만이 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수단이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으로 만 50세 이상 성인에게 1년 단위의 분변 잠혈반응검사를 진행, 이상 소견이 나올 경우 대장내시경검사 또는 대장이중조영검사를 받게 한다.
또 별다른 증상이 없는 사람도 50세 이상부터는 5년~10년에 한 번씩 해당 검사 중 하나를 받도록 권장하고 있다.
◆치료법의 진화 ‘복강경 수술’, 정밀하고 빠른 회복 속도
대장암에서 수술은 가장 기본적인 치료방법이 된다. 암의 발생 부위에 따라 수술 방식이 각각 다르게 적용되긴 하지만 수술의 원칙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림프혈관을 결찰하고 주변 림프절을 포함, 광범위하게 절제술을 시행하는 게 원칙의 주된 틀이다.
수술 중에는 복부의 다른 장기들을 관찰해 전이된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소장, 난소, 요관, 신장 등의 주변장기와 붙어있는 경우 함께 절제할 수도 있다.
다만 수술은 복부 표피를 15㎝가량 절개하는 형태로 진행되던 종전 방식에서 현재는 배꼽 부위 1㎝가량을 절개해 복강경 카메라를 삽입, 복부 안을 모니터로 살피며 시행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또 의사의 손을 대신해 3~4개의 작은 절개창과 30㎝ 길이의 기구로 수술부위에 접근, 보다 정밀하게 수술할 할 수 있는 점은 현재 의술(복강경 수술)의 특장점이 된다.
이는 수술 상처를 최소화하고 통증을 줄여 환자의 스트레스를 완화, 회복기간을 단축하는 데도 긍정적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거에 복부 수술을 받은 적이 있어 유착이 심하거나 재발한 경우, 주변 장기로 암세포가 전이돼 복강경 기구만으로 절제가 쉽지 않은 경우, 환자가 비만이거나 골반강이 좁아 기구 조작이 힘든 경우 등에는 복강경 수술이 제한적이라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재발과 전이, 조기발견 요건은?
대장암 수술 후에도 재발과 전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기적 추적 및 관찰을 지속해야 한다. 모든 병증에서 조기발견과 이에 맞춘 치료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정기적인 추적 및 관찰 방법과 기간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장암의 경우 통상 수술 후 2년 이내 재발하는 사례가 많은 까닭에 이 기간 내 주기적 추적관찰은 필수적이다.
또 수술 후 5년이 경과한 환자에게서도 재발 또는 전이가 발견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 검사 횟수와 시기 간격을 조절하더라도 추적관찰을 지속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 병원에선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수술 후 2년까지는 3개월에 한 번, 2년차 된 해부터 5년차까지는 6개월에 한 번, 6년차부터는 1년에 한 번 이상의 추적 및 관찰을 실시하는 게 통상적이다.
이때 전문의는 환자를 대상으로 간단한 진찰을 실시하고 기본적 혈액검사와 암표지자검사를 병행한다.
또 흉부 엑스선 촬영은 6개월마다 1회, 전산화단층촬영(CT)과 대장내시경 혹은 대장조영술은 1년에 1회 가량 시행하고 경우에 따라선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와 별개로 대장암 수술을 받은 전력이 있는 환자라면 평소 체중감소, 식욕부진, 무력감 등 전신증상과 복통, 골반통증, 기침, 배변 습관의 변화와 항문 출혈 등 증상이 있을 경우 곧장 전문의를 찾아 상의하고 추가 검사를 받는게 중요하다.
대장암의 재발을 원천적으로 차단(예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모든 암이 그렇듯 대장암도 복합적 요인에 의해 느닷없이 발병(재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기적인 검사로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고 환자 개별 진행상화에 맞춰 적절한 치료가 시행된다면 완치 확률은 그만큼 높아질 수 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