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환율-수출 관계성 떨어졌다…"생산구조 분업화 영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환율-수출 관계성 떨어졌다…"생산구조 분업화 영향"
AD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통화가치의 하락이 수출 개선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 가치를 끌어내리는 가격 경쟁력보다 비(非)가격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8일 김권식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의 '환율-수출 연관성 약화의 원인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일부 신흥국 등 46개국을 대상으로 환율의 수출 탄력성을 산출한 결과 환율 약세가 1990년대에는 수출을 1.3만큼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면 최근에는 0.6으로 개선 효과가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남미 신흥국의 경우 자국 통화가 약세로 가더라도 수출이 개선되는 효과가 더욱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환율과 수출 간 연관성이 약해진 것은 세계 생산구조가 분업화된 영향이 컸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주요 20개국(G20) 국가의 수출 중 중간재 수출 비중이 30~60%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글로벌 생산분업에 밀접하게 연관된 국가는 환율의 수출탄력성이 0.24로 느슨하게 연결된 국가(1.38)보다 떨어졌다. 김권식 연구원은 "자국 통화 가치가 떨어지면 수출 가격이 내려가겠지만 이와 동시에 중간재를 수입하는 비용이 올라 그 효과가 상당부분 상쇄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는 자국 통화 가치를 낮춰 수출 가격 경쟁력을 키우기보다 비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생산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분업화하며 수출의 부가가치가 외려 줄었다"며 "성장 잠재력의 관건은 비가격 경쟁력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