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권력의 양지만 쫓는 명분없는 철새 정치인이다."
"아무리 본인(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 비서관)이 거기(청와대)서 좋지 않게 나왔다고 하더라도, 박근혜 정부를 흠집내는 상대방 당에 인재영입으로 들어가는 것은 상당히 부적절한 처신이다."
정치권이 정초부터 '철새' 논란으로 뜨겁다. 그도 그럴것이 한때 박근혜 정권의 최측근이었던 인사들이 대거 야당 행(行)을 선택해서다.
우선 2012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으로 박 대통령 당선에 혁혁한 공(功)을 세웠던 김 위원장은 제1야당의 수장으로 대통령과 맞서게 됐다. 같은 시기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을 맡았던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는 국민의당으로 적을 옮겼다. 정권 출범과 동시에 청와대에 입성한 조 전 비서관도 더민주에 둥지를 틀었다. 이에 새누리당은 2일 '권력과 더불어 36년 김종인의 말 바꾸기'라는 제목의 자료까지 내면서 공격에 나섰고, 청와대도 '불순한 의도'라며 조 전 비서관의 영입을 정조준했다.
개국공신들의 변절, 혹은 변신의 이유에도 차이는 있다. 김 위원장의 경우 박근혜 정부에서 사장(死葬)된 '경제민주화'를 이루겠다는 목표다. 그는 "국민들에게 굉장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며 "내가 너무 (대선 때 경제민주화가)될 수 있는 것처럼 얘기했다"고 사과했다. 청와대 내 권력투쟁에서 밀려난 조 전 비서관은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의 말을 빌려 "내가 겪은 아픔을 다른 사람이 겪게 하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공천탈락 등 이해관계를 명분으로 변신한 이들과는 다른 문법이다.
이 같은 개국공신들의 변신은 박근혜 정부의 현주소를 짚어준다. 대선공약이었지만 어느새 사라진 경제민주화, 국민행복시대를 열겠다는 선언과 달리 국민을 혼란케 한 정권 내의 파워게임 등이 대표적이다.
'조반유리(造反有理)'라는 말이 있다. 모든 반란엔 이유가 있다는 뜻이다. '철새'를 무작정 비판하기에 앞서 되짚어 볼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