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쟁점 법안들의 국회 계류 상태가 길어지면서 해를 넘길 우려까지 제기된 박근혜 대통령의 총선용 2차 개각이 21일 전격 단행됐다. 국회 상황에 따라 당초 12월 초로 예측되던 개각 시점이 성탄절 직전, 내년 초 등으로 계속 미뤄지던 터였다.
박 대통령은 법안 주무 장관들이 대국회 설득 작업에 매진해야 한다는 점에서 쟁점 법안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개각을 미뤄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인사 청문회에 소요되는 기간과 1월 14일 공직자 사퇴 시한 등을 감안할 때 자칫 장관 공백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있어 개각 시점을 더이상 늦추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교체된 5개 부처 수장 중 4명은 정치인 출신 장관으로 모두 내년 4월 총선에 출마할 예정이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등이다. 이 중 정 장관은 이미 사퇴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정통 관료 출신인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공식적으로 출마 의사를 내놓진 않았지만 대구나 부산 지역 첫 출마가 예상된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번 2차 개각으로 집권 후반기 정책과제 수행을 담당할 3기 내각을 완성했다. 뜻밖의 새로운 인물보다는 박 대통령과 오랜 동안 호흡을 맞춰온 측근 중심의 개각이란 점에서 변화보다는 안정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 부문 개혁과 민생경제 활성화를 지휘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친박 경제전문가 유일호 의원을 선택한 것이 대표적이다. 애초 정통 경제관료를 유력하게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치인 출신을 발탁한 것은 대국회 정무 감각을 중요시 여긴 조치로 풀이된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쟁점 법안들이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인 상황에서 국회로부터 협력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박근혜정부 3기 내각은 전문가와 관료 중심의 관리형 내각의 모습으로 출범하게 됐다. 이미 벌여놓은 국정과제를 안정적으로 마무리하면서 집권 하반기 권력 누수를 최대한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