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베이비·에코부머(BBEB)' 현상이 주거공간 트렌드 좌우"

시계아이콘01분 1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피데스개발, 한국갤럽과 '2016~2017년 주거공간 7대 트렌드' 발표
주거공간 핏사이징ㆍ월세시대ㆍ非아파트 진격 등 예상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앞으로 주거공간의 최대 화두는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자녀세대인 에코부머의 주택구매 등 'BBEB(베이비ㆍ에코부머) 세대현상'으로 예측됐다.

또 향후 2년 간 주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요인으로는 베이비부머 은퇴족의 활동과 강남발 재건축, 주택의 상업시장 진입 본격화, 세계경제ㆍ소비심리 영향 등이 꼽혔다.


부동산 개발회사인 피데스개발은 한국갤럽과 공동 조사한 '미래주택설문조사'와 '전문가세션', 그리고 세계 각국의 트렌드 조사 등을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의 '2016~2017년 주거공간 7대 트렌드'를 8일 발표했다.

피데스개발은 주거공간 7대 트렌드로 BBEB 세대현상, 사물인터넷 하우징, 스테이케이션 공간 각광, 월세주택시장 본격화, 주거공간 핏사이징, 외국인 식구(食口)시대, 비(非) 아파트의 진격 등을 선정했다.


가장 큰 변화 요인으로는 약 208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는 베이비부머(BB, Baby Boomer 735만명, 55~63년생)와 에코부머(EB, Echo Boomer 1348만명, 79~97년생)의 세대 현상에 따라 주거공간도 변화하는 'BBEB 세대현상'이 꼽혔다.


피데스개발은 베이비부머가 은퇴기에 접어들면서 그 자녀 세대간 상호작용에 따라 다양한 주거 현상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집을 합치고, 나누고, 바꿔 사는 현상이 나타나고, 한 집에 함께 살거나 도보 이동이 가능한 같은 동, 같은 단지에 살거나 약간 떨어진 근거리를 오가며 사는 등 다양한 세대간 주거형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 스마트하우스를 뛰어넘는 본격적 '사물인터넷(IoT) 하우징' 시대를 예측했다. 사물인터넷 하우징은 벽이나 투명한 거실 유리칸막이가 스크린이 되거나 스마트폰으로 건강심리상태를 확인해 온도, 조명을 맞춰두고, 사용자의 행동 패턴 빅데이터를 분석해 최적 주거환경을 만드는 등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집안이나 집 근처에서 적은 비용으로 여가시간을 소비할 수 있는 '스테이케이션(Staycation) 공간'이 각광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피데스개발에 따르면 '월세 주택시장이 본격화'돼 실수요에 비해 투자수요가 커지고 수익형 부동산이 부동산시장에서 주연으로 급부상한다. 기업형 뉴스테이, 준공공임대주택, 민간임대사업이 활성화되고 홈스테이, 게스트하우스 등 실거주와 투자를 병행하는 콜라보도 보편화된다.


주택 다운사이징 현상이 지속되지만 무한정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3인 이하 전용면적 99㎡(33평) 이하로 수렴되는 인당십평(人當十坪), '주거공간 핏사이징(fit sizing)' 현상도 나타난다. 외국인 200만 시대를 맞으며 외국인 이웃이 보편화되면서 '외국인 식구' 현상도 나타난다.


아파트 선호 속 마당과 테라스가 있는 집, 아파텔(주거용 오피스텔), 서비서드레지던스, 고층 주거복합, 상가주택 등의 인기가 높아지고 주거, 상업, 레저, 휴식, 문화가 융복합된 공간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비(非) 아파트의 진격'도 예상했다.


김희정 피데스개발 R&D센터 소장은 "2016~2017년 주거공간은 베이비부머의 은퇴에 따른 세대 현상을 중심으로 주택의 상업시장 진입, 강남발 재건축, 세계 경제와 소비심리 등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화하고 발전해 나갈 것"이라며 "변화하는 주거 트렌드에 맞는 주거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