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금 인출 빈발 CD/ATM 취약지역으로 지정…유관기관 공조도 강화
[아시아경제 강구귀 기자] 금융사기범의 CD/ATM 사기 피해금 인출 지역은 서울에서는 영등포구가 가장 많았다. 금융감독원은 피해자금 인출 빈발 CD/ATM 지역을 ‘취약지역’으로 지정해 밀착감시하고, 이 지역 소재 CD/ATM 이용고객에 대한 시민감시망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은 1~8월 중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자금이 인출된 경로를 분석한 결과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서울 ▲경기 ▲대구 ▲인천 지역에서 CD/ATM를 통한 사기 피해금 인출이 95.7%에 달한다고 8일 밝혔다. 이 지역 내에서도 보이스피싱 인출책은 특정 시·구에 소재한 CD/ATM을 집중 이용하고 있고, 한 지역 내에서도 특정 동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서울은 총 25개 구 중 15개구에서 피해자금 인출이 빈발(20건 이상)했다. 인출건수가 100건 이상인 구는 4개구로 서울 전체 인출건수의 45.1%가 이 지역에 집중됐다. 영등포구 170여건, 구로구 140여건, 종로구 120~130여건, 관악구 100여건 순이다.
경기도 A시 등 6개시는 사기 피해금 인출건수가 50건 이상이다. 경기도 전체 인출 건수의 72%에 달한다. 대구광역시의 D구 등 3개구는 전체 인출건수의 82.6%나 된다.
금감원은 CD/ATM을 통한 금융사기 피해금 인출이 빈발한 지역은 주로 역세권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다거나, 외국인 근로자 등이 밀집해 있으면서 환전소가 난립해 있는 지역으로 분석했다. 보이스피싱, 대출빙자 사기 피해자금의 불법송금(환치기) 창구로 사설 환전업체가 활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영세한 개인환전소의 경우에는 관할 기관의 관리?감독이 비교적 느슨할 것이라는 취약점을 틈탄 것으로 추정했다.
앞으로 금감원은 무인점포로서의 CD/ATM에 대한 관리책임을 강화한다. 인출책의 인상착의, 행동특성 등 주요특징을 분석, 금융회사간 공유해 관리대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 외국인·환전업자 밀집지역 등 사기 피해금 인출 취약지역 정보를 공유하고 ‘ATM 전담 보안관’을 지정하는 등 밀착 감시할 예정이다. 취약지역 소재 CD/ATM 이용고객에 대한 시민감시망도 강화된다. 보이스피싱 피해자금 인출 집중 감시지역임을 알리는 주의 스티커를 CD/ATM에 부착하고, 인출고객이 의심스러운 행동을 보일 경우 경찰에 신고를 유도한다.
경찰청, 한국은행 등 유관기관과의 공조도 강화된다. 경찰청에는 유사 시 긴급출동 프로세스 구축 등 단속 강화를 요청한다. 한국은행에는 범죄다발 환전상에 대해 상시감시 강화를 요청하고, 범죄자금을 인지하고도 환전한 경우 공범으로 고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강구귀 기자 ni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