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중 FTA시대-농식품]달라진 식습관…조미김·분유·베이커리 시장 열린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한·중 FTA시대-농식품]달라진 식습관…조미김·분유·베이커리 시장 열린다 세계 각지에서 생산된 분유가 중국 소비자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블룸버그
AD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국회에서 비준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는 우리 수출의 4분의1을 차지하는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 일본 등 주요 경쟁국들과의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여느 FTA보다 각별하고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8일 KOTRA가 중국 소재 17개 무역관을 통해 중국에 진출이 유망한 품목을 선정한 결과, 농식품분야에서는 조미김, 유제품(우유), 감귤류 등 건조과일, 유아용분유, 인삼제품, 뷰티식품, 소시지 등 가공식품, 커피, 과일주스, 베이커리제품, 에센셜오일, 천연꿀 등이 꼽혔다.

조미김은 중국의 수입관세율은 15%로 매년 0.75%씩 20년간 균등철폐된다. 한국의 수입관세율은 8%로 매년 1.6%씩 5년간 균등철폐된다. 최근 중국 소비자들이 웰빙식품을 많이 찾으면서 조미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2014년 중국의 조미김 수입액은 5159만 달러로 전년 대비 81.9% 증가했다.한류의 영향으로 조미김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어, 고품질 간식으로서의 김 소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유의 경우 한·중 FTA에서는 양허 제외된 품목이나, 중국 정부의 '해외 유제품생산업체(품목) 등록제' 시행으로 중단되었던 흰우유(살균유) 수출이 올해 7월부터 재개돼 향후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중국에서는 자국산 유제품에 대한 불신으로 수입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 추세다. 특히 고소득층 소비자들은 수입 우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품질이 좋은 고가 제품을 구매하려는 성향이 있다.


2014년 중국의 우유 수입액은 약 2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7% 증가했다. 최근 유제품 내수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인의 식습관 변화로 우유 섭취량이 급증하고 있어 우유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유아용 분우유의 경우도 양허에서 배제된 제품이지만 식품위생에 대한 의식과 생활수준향상,1가구 2자녀 정책시행으로 중국 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 베이커리 제품은 중국에서 프리미엄 제품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관세 철폐 효과로 대중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베이커리의 중국의 수입 관세율은 15%로 매년 1%씩 15년간 균등철폐되고 한국의 수입 관세율은 8%로 매년 0.8%씩 10년간 균등철폐된다.


중국인의 식습관이 서구화됨에 따라 베이커리 제품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08년~2012년 중국 베이커리식품 산업의 판매수익 증가율은 연평균 28.85%를 기록했다. 2014년 중국의 베이커리 제품(스위트 비스킷) 수입액은 2억 408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7% 증가했다.


최근에는 간식뿐만 아니라 아침식사 대용 등 주식 대체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어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2년 기준 베이커리식품 산업의 판매 규모는 전년 대비 13.6% 증가한 1886억 6400만 위안을 돌파했으며 2017년까지 4658억 2900만 위안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