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여야는 6일 선거구 획정 기준안 마련을 위한 '3+3' 담판 회동을 가졌지만 20여분만에 파행했다. 야당은 비례대표 의석수를 줄이는 대신 비례성 강화를 위해 권역별·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주장했지만, 여당이 이를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는 정개특위 여야 간사인 이학재·김태년 의원과 함께 이날 오후 국회에서 내년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 기준 합의안 도출을 시도했지만 논의를 시작한지 20여분만에 결렬됐다.
야당 측이 먼저 자리를 박차고 나왔으며, 비례성 확보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 이상 당분간 여야 지도부간 회동도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비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가 전제되면 비례대표 수는 줄일 수 있다고 했지만 여당은 아무런 진전된 안이 없었다"며 "그래서 더 이상 논의하지 못하고 오늘 끝내게 됐다"고 밝혔다. 추후 다시 만날 계획인지 묻자 이 원내대표는 "없다"고 답했다.
김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나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논외로 하고, 선거구 획정을 어떻게든 결론내기로 한 자리였다"며 "그러나 새정치연합 측에서 '진전된 안을 가져오지 않고 주장만 하는 건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먼저 나갔다"고 말했다.
이학재 의원은 "현행 권력구조 하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받기엔 무리가 있다"며 "OECD 국가 중에서 대통령제를 채택한 나라 7개가 있는데 이중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한 나라는 없다"고 밝혔다.
원 원내대표는 "정치신인 등 20대 총선을 대비한 모든 후보자들에게 혼란을 안겨줘선 안 되고 국민에도 피해가 가선 안 된다"면서 "하루속히 선거구 획정 기준을 마련해서 선거구획정위원회에게 전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